"서방국가가 제조한 전기차라도 중국산 통신 부품 사용했다면…"
영국 정부 기관이 전기차가 중국의 간첩 활동에 취약해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는 17일(현지시간) 영국국방과학기술연구소(DSTL)가 중국이 전기차 탑승자의 대화를 도청할 수 있다는 우려를 보도했다. 꼭 중국산 전기차만 문제가 아니라는 지적이다. 연구소는 서방국가가 제조한 전기차라도 중국산 부품이 사용될 경우 중국의 도청에 취약하다고 봤다.
DSTL은 2027년 말까지 모든 정부 차량 4만 대를 전기차로 교체하겠다는 영국 정부의 방침과 관련해 전기차의 안보 위협 여부를 분석했다. 이 보고서는 지난해 7월 영국 총선 이전에 보수당 정부에 전달됐다. 앞서 리시 수낙 전 총리 재임 시절 영국 정부는 관용차를 전기차 등 친환경 차량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중국의 전기차 시장 장악력을 우려해 이번 보고서를 의뢰했다.
연구소는 전기차뿐 아니라 무선네트워크로 외부와 연결돼 차량과 관련한 각종 데이터를 전송하는 휘발유 차량도 위협적으로 봤다. 중국의 스파이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이런 분석을 두고 보수당 관계자는 매체에 "전기차는 사실상 움직이는 스파이 장비"라며 "전기차로 수집할 수 있는 정보는 어마어마하게 많고, 특히 차량 내 탑승자의 대화가 유출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영국 정부는 정부 차량을 무공해 차량으로 전환하겠다는 방침을 유지했다. 중국산 전기차 구매를 금지하는 정책도 별도로 도입하지 않았다.
다만, 영국군은 일부 군사기지에서 중국산 부품이 포함된 전기차의 출입을 금지했다고 전해진다. 중국 전문가인 찰스 파튼 영국 의회 외교위 특별고문은 "중국산 차량뿐 아니라 중국산 통신장비가 들어간 차량도 사용해선 안 된다"며 "장관들이 차 안에서 대화를 나눈다면 중국에 흘러 들어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앞서 중국 전기차업체들이 미국과 유럽연합(EU)의 관세 부과에 따라 해외 공장 건설 계획을 세웠으나 중국 정부가 안보와 지정학적 이유로 제동을 걸어 난관에 봉착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지금 뜨는 뉴스
중국 당국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부과에 따라 무역과 투자에 위험이 커졌다는 점을 경고하며 BYD와 지리자동차가 브라질과 멕시코에서 전기차를 생산하려는 계획의 승인을 보류했다. 이에 관세전쟁이 중국 전기차업체의 세계시장 진출을 막지는 못하겠지만, 중국 정부는 전기차업체들이 진출 지역 선정 등에 더욱 신중하게 접근하기를 원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김현정 기자 kimhj2023@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