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美에 상호 무관세 제안…위스키 관세도 철폐
정인교 본부장, 8일 방미
중국, 美와 똑같은 세율로 관세 보복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상호관세 유예 가능성이 없다고 못 박으면서 관세 사정권에 들어간 각국 정부의 발걸음도 분주해지고 있다. 유럽연합(EU)은 자동차를 포함한 모든 공산품에 대해 관세를 철폐하겠다고 밝혔으며 한국과 일본은 협상단을 꾸려 트럼프 행정부와 관세율 조율을 위한 협상에 나설 방침이다. 미국과 한 치 양보도 없는 관세 전쟁 중인 중국은 트럼프 행정부가 내민 관세 청구서에 34% 보복 관세 부과로 맞받아치면서 양국 간 무역전쟁이 단기에 봉합되지 않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7일(현지시간) "미국과 협상할 준비가 돼 있다"면서 "실제로 (미 측에) 상호 무관세(zero-for-zero tariffs)를 제안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자동차를 포함한 모든 공산품이 상호 무관세 적용 대상이라고 덧붙였다. 미국의 철강·알루미늄 관세에 대응하기 위해 마련한 260억유로(약 42조원) 상당 미국산 상품에 대한 보복관세 방안도 당초 계획보다 축소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트럼프 대통령을 격노케 했던 미국산 버번위스키 등 주류 관세 조치도 철회하기로 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 같은 EU의 움직임에 대해 "EU는 중도 노선을 선택한 듯하다. 트럼프에 맞서되 지나치게 적대시하지 않는 것"이라며 "EU는 보복 관세의 속도를 두 번이나 늦췄는데, 그 이유는 트럼프 행정부와 협상할 시간을 더 벌기 위해서"라고 평가했다.
미국의 우방국을 자처하는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17% 상호관세를 부과받자 "미국과 이스라엘의 무역적자를 완전히 없애고 싶다"며 미국산 제품에 모든 관세를 취소하겠다고 발표했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방미해 미국과의 관계에 공들인 인도도 미국 상품에 대한 관세를 철폐하겠다고 미국에 통보한 상태다. 심지어 남아프리카의 소국인 레소토조차 캘빈클라인과 리바이스 청바지를 포함한 미국 수출품에 대한 관세에 항의하기 위해 미국에 대표단을 파견할 예정이라고 뉴욕타임스(NYT)는 전했다.
고율관세 부과국이 많았던 아시아 국가들도 트럼프 행정부의 마음을 돌리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 대미 투자 선물 바구니를 안기고도 24% 관세를 적용받은 일본은 관세 문제 해결을 위해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직접 등판한다. 이시바 총리는 이날 참의원 결산위원회에서 "필요하다면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회담할 것이고 주저하지 않을 것"이라며 협상에 대한 의지를 드러냈다. 32% 관세 부과로 반도체 같은 주력 수출 산업이 우려되는 대만은 라이칭더 총통이 최근 연설에서 "대만은 관세로 보복할 계획이 없다"며 대만 기업인 TSMC가 미국에 약속한 투자는 그대로 진행될 것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으로 정치적 불확실성이 다소 해소된 우리나라도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이 8일 워싱턴을 방문해 미 무역대표부 등과 협의에 들어간다. NYT는 "정 장관은 트럼프 행정부 관리들과 회동해 새로운 관세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고 한국의 수출 주도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라고 했다.
가장 가혹한 관세 청구서를 받은 국가 중 하나인 베트남은 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직접 서한을 보내 관세 부과를 최소 45일 동안 연기해달라고 요청했으며 49% 관세 폭탄을 맞은 캄보디아 역시 미국에 서한을 보내 19가지 미국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즉시 인하하겠다며 미국을 달랬다. 워싱턴포스트(WP)는 "트럼프 행정부가 대다수의 무역 상대국에 대한 관세 부과를 발표하면서 세계 시장이 혼란에 빠지자 일부 정부는 즉각적이고 과감한 양보를 제안하며 대응했다"며 "미국 상품에 대한 관세를 인하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전쟁 요구에 부응하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지금 뜨는 뉴스
미국과 한 차례 보복 조치를 주고받은 중국만은 추가 관세 공격에 미국과 똑같은 세율(34%)의 보복 관세로 맞불을 놓으며 뻣뻣한 태도를 유지했다. WSJ는 "중국이 점점 더 도전적인 태도로 바뀌고 있어 중국이 물러설 가능성은 작다"고 전했다.
김민영 기자 argus@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