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은 올해 자동차안전도평가(KNCAP, K엔캡)를 위한 11개 차종을 선정했다고 1일 밝혔다.
이 평가는 정부가 자동차 안전기준보다 엄격한 기준으로 신차 안정성을 평가하는 제도다. 결과를 공개해 제작사가 안전도 향상을 위해 노력하도록 유도하려는 의도가 있다. 1999년 시작해 매해 10여개 차종을 평가한다. 지난해까지 총 233개 차종을 평가했다.
올해는 대국민 투표에서 가장 많이 표를 받은 현대차 아이오닉9과 팰리세이드, 기아 타스만이 포함됐다. 여기에 기아 EV4와 테슬라 모델3, KG모빌리티 무쏘, BMW iX2, BYD 아토3(이상 배터리전기차), 현대차 넥쏘(수소전기차), 혼다 CR-V(하이브리드), 포드 익스플로러(내연기관)를 대상으로 평가한다. 배터리 전기차가 6종, 수소전기차가 1종, 하이브리드와 내연기관이 각 2종씩이다.
충돌 안전성을 비롯해 외부통행자안전성, 사고예방안전성, 전기차안전성분야 등 4개 분야 25개 항목을 평가한다. 올해 처음으로 페달오조작방지장치와 사고기록장치(EDR)를 평가항목에 포함했다. 사고 발생 시 탑승객 구출을 위한 교통사고긴급통보장치, 충돌 후 탈출·구출 안정성도 올해 처음 평가한다.
지금 뜨는 뉴스
공단은 "급변하는 자동차 안전 기술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운전자모니터링장치 성능평가, 페달오조작 방지장치 평가항목 고도화 등을 연구하고 있다"며 "평가항목이나 기술을 지속해서 개발해 제도 실효성을 높일 것"이라고 전했다.
최대열 기자 dycho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