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4가지 교육 모델 제시
"교육과정 축소 아니다" 강조
교육부는 올해 2배로 불어난 의과대학 1학년(24·25학번)을 차질 없이 교육하기 위해 의과대학 학장단이 제시한 4가지 교육과정 운영 모델을 발표했다. 이를 토대로 각 대학이 상황에 맞게 운영계획을 수립하면 교육부는 필요한 사항을 지원할 계획이다.
교육부는 7일 '학생 복귀 및 의대 교육 정상화 방안'을 발표하며 40개 의대 학장 협의체인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의대협회)'와 대학이 제안한 24·25학번 교육 운영 모델 네 가지를 소개했다. 교육부에 따르면 24·25학번 의대 1학년 교육 인원은 지난해 3058명에서 올해 7623명으로 평균 2.49배 증가했다.
이들 모델은 24학번의 경우 총 6년의 의대 교육과정을 5.5년 안에 압축적으로 소화시켜 25학번보다 한 학기 빠르게 졸업시키는 것을 골자로 한다. 24학번 의대생들은 지난해 집단행동으로 수업을 듣지 않은 '실질 1학년' 상태다. 학교별로 24학번의 1학기 학사 처리 상태에 차이가 있어 상황별로 다른 모델을 참고할 수 있다는 게 교육부 설명이다. 24학번 1학기 학사처리가 '재학생 전체 수료'인 대학은 9곳, '일부 수료'는 19곳, '전체 유급' 2곳, '휴학'은 9곳이다.
모델 1은 기존 교육과정을 그대로 운영해 24학번과 25학번이 동시에 졸업하는 안이다. 24학번을 일찍 졸업시키기 위한 별도의 조치 없이 두 학번 모두 6년의 교육과정을 그대로 채운다. 운영 과정에서 학번별 분반은 가능하다.
모델 2~4는 24학번의 교육과정 이수 기간을 5.5년으로 압축해 졸업 시점을 다르게 했다. 24학번은 2030년 1학기를 마치고 졸업하고, 25학번은 2030년 2학기 종료 후 졸업하게 된다. 모델 2는 24학번 학생이 유급하거나 휴학을 해 올해 1학기부터 12학기 전부를 이수해야 하는 상황을 전제로 했다. 24학번의 1~2학년 과정을 다학기제나 계절학기를 운영해 2026년 1학기까지 2학년 2학기 수준의 교육과정을 이수할 수 있도록 했다.
모델 3은 1학년 1학기를 이수한 24학번을 올해 3월에 1학년 2학기로 복학시키는 안이다. 올해 1학기에 바로 1학년 2학기 과정으로 복학해 순차적으로 잔여 학기를 이수하면 25학번보다 한 학기 빠르게 졸업할 수 있다.
모델 4는 의대 특성을 고려해 24학번의 1~2학년 단계가 아닌 4~6학년 과정을 재설계했다. 의대는 국가고시 준비를 위해 6학년 2학기에 수업이 없이 자율학습으로 운영하는데, 이 부분을 압축해 24학번의 졸업을 앞당긴다는 것이다.
교육부는 이같은 기간 단축이 '부실 교육'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고 강조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기간을 조금 단축하지만, 12학기 동안 배워야 할 교육과정을 충실히 이수하면서 상황을 고려해 압축적으로 진행하는 것"이라며 "절대 배워야 할 것을 가르치지 않거나, 간소화해 운영한다는 것이 아니다"고 말했다.
각 대학은 앞으로 의대협회가 제안한 모델을 참고해 학생·교수의 의견을 수렴하고, 대학별 여건을 고려해 의대 교육 6개년 운영 방안을 마련한다. 교육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이렇게 마련된 운영계획 실행에 필요한 행정·재정적 지원을 맡는다.
그동안 의대 정원이 늘어나면 이들이 활용할 기자재나 교육 공간이 부족할 것이라는 우려도 컸다. 교육부는 시설·기자재 확충에 1508억원, 사립대 여건 개선 융자 1728억원 등 예산을 투입해 인프라 개선과 공간 확충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각 대학은 기존 시설을 활용하거나 신규 시설을 확충하기 위한 로드맵을 설정했다. 국립대 9개교는 올해 안에 의대 건물 건립 설계에 착수해 강의실과 실습실 등 필수 교육 시설을 확충한다. 사립대 22개교는 기존 시설 리모델링에 착수했거나 계획을 짜놓은 상태다. 10개교는 건물을 신축할 계획이다. 이들은 증원으로 뽑은 의대생이 임상실습 수업을 듣게 될 2029년에 맞춰 신규시설을 운영할 방침이다.
의대 교육에 필요한 기자재의 경우 1~2학년을 위한 기자재부터 연차적으로 확충을 추진한다. 올해 국립대 의대 실험·실습 기자재 지원 예산은 총 75억7000만원이다.
지금 뜨는 뉴스
의학교육 부실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의평원)의 평가인증을 통한 재정 지원도 확대한다. 의평원 지원 예산은 지난해 4000만원에서 올해 2억9000만원으로 증가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의평원 주요변화평가 결과 등을 토대로 대학이 충실하게 자구 노력을 하도록 하되, 필요시 행정·재정적 지원을 하겠다"고 설명했다.
김영원 기자 forev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