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 K푸드 수출 동향과 시사점' 보고서
라면·간편식·음료·건강식품 순
상위 수출국 1~3위는 美·中·日
라면, 조미김 등 한국의 'K푸드'가 세계적인 인기를 얻고 있는 가운데 가장 많이 수출된 나라는 미국으로 집계됐다.
6일 대한상공회의소는 한국무역통계진흥원에 의뢰해 분석한 '10년간 K푸드 수출 동향과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했다. 내용에 따르면 K푸드 수출액은 2015년 35억1000만달러에서 2024년 70억2000만달러으로 두 배가량 증가했다. 품목별로는 라면이 13억6000만달러(한화 2조원)로 1위를 차지했으며 간편식(9억8000만달러), 음료(9억4000만달러), 건강식품(8억2000만달러), 조미료(6억5000만달러)가 뒤를 이었다.
연평균 성장률로 볼 때 K푸드 수출량은 지난 10년간 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15~2019년 성장률은 5.9%, 2020~2024년 성장률은 9%로 최근 5년 동안 수출량이 급증했다. 10년간 품목별 수출 성장률은 라면이 20.1%로 가장 높았으며 건강식품(11.9%)과 조미김(11.3%) 순이었다. 특히 라면은 K컬처와 전자상거래 확산,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간편식 선호 추세 등으로 수출 금액과 성장률에서 모두 1위를 차지, 매년 최고치를 경신해왔다.
또한 지난해 K푸드 상위 수출국 1~3위는 각각 미국, 중국, 일본이었다. 10년 전과 비교 시 수출 1위국이 중국에서 미국으로 바뀐 것을 알 수 있었다. 6위에서 4위로 오른 베트남, 7위에서 5위로 오른 필리핀 등 동남아 국가로의 수출량도 함께 증가했다.
문정훈 서울대학교 교수는 "미국과 동남아 시장에서 한류 영향력 및 건강식품 선호 트렌드가 지속돼 한국 식품에 대한 관심이 늘어 수출이 증가했다"며 "미국의 경우 한국 식품이 코스트코 같은 대형 유통매장에 입점하며 유통망이 확대되고 프랜차이즈 매장 증가와 현지 마케팅 강화도 주효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김민석 대한상의 유통물류정책팀장은 "올해 국내외 통상환경 불확실성이 존재하나, 한류와 K푸드 인기 등을 기회요인으로 활용해 수출 지역 및 품목 다변화를 통한 수출 확대를 이어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예원 인턴기자 ywju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