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불확실성·통상환경 급변 대응
관세대응·탄소중립 전환 지원 도입
100개사 선정, 활동비 90%까지
수출입에 어려움은 겪는 부산지역 중소기업을 위한 바우처 지원사업이 확대된다.
부산시(시장 박형준)와 부산경제진흥원(원장 송복철)은 지역 중소기업의 위기 극복과 수출 활성화를 위한 ‘수출입 애로 중소기업 바우처 지원사업’을 확대해 추진한다고 6일 알렸다.
이 지원사업은 지역 중소기업의 수출 경쟁력 향상과 해외 판로개척을 위해 시가 마련한 다양한 수출지원시책 중 하나다.
부산시는 대내외적인 통상환경의 불확실성이 커짐에 따라 지역기업의 수출 애로를 선제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바우처 지원 사업비를 지난해 본예산 2억원에서 올해 3억원으로 확대 편성했다.
시는 급변하는 글로벌 통상환경에 대응해 기업의 수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올해 기업당 지원 한도를 300만원(작년 200만원)으로 확대한다.
지역 수출 중소기업과 수출을 목적으로 원자재를 수입하는 기업 100여개사를 선정해 수출 마케팅비, 국제운송비, 통·번역비 등 수출활동 비용의 최대 90%까지 300만원 한도로 지원한다.
또 미국 관세 조치로 피해가 우려되는 중소기업 애로 대응을 위해 ▲탄소중립 전환 지원 ▲관세대응 지원 등 2개 지원 분야를 신규 도입한다.
올해 지원하는 분야는 ▲국제운송 ▲전시회·해외영업 지원 ▲홍보·광고 마케팅 ▲디자인·동영상 ▲통·번역 ▲해외규격인증·지재권 취득 ▲탄소중립 전환 지원 ▲관세대응 지원 등 총 8개다.
탄소국경조정제도 등 국제 환경규제가 무역장벽으로 다가오면서 지역의 영세한 중소기업들이 탄소감축 규제 대응에 어려움을 겪는 데 대비해 올해 ‘탄소중립 전환 지원’ 분야를 신설해 기업의 수출 경쟁력을 강화한다.
또 미국 트럼프 정부 관세정책에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 수출 중소기업의 애로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관세대응 지원’ 분야를 도입해 적극 지원키로 했다.
기업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올해 지원범위를 기존 해외규격인증에서 수출 성공의 선결 요건인 지식재산권 취득까지로 확대할 예정이다.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은 부산시 해외마케팅 통합시스템으로 오는 3월 17일까지 신청하면 된다.
4월부터 11월까지는 매월 10일까지 신청하면 되고 시는 심사를 통해 선정된 기업에 매월 말까지 지원금을 산정·지급할 계획이다. 자세한 사항은 시 해외마케팅 통합시스템 공고문을 참고하거나 부산경제진흥원에 문의하면 된다.
지금 뜨는 뉴스
김봉철 부산시 디지털경제실장은 “기업 수요에 기반한 맞춤형 수출 서비스를 지원해 세계 경제 복합위기와 불확실성 속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 중소 수출기업의 고충을 해소하고 수출을 활성화하는 데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영남취재본부 김용우 기자 kimpro777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