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지정학적 요인 겹쳐 공급망 위협
"무역이 더 이상 예전처럼 세계 성장을 이끄는 엔진이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다."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는 5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IMF 행사에 원격으로 참석해 이같이 말하며 많은 국가들이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과 지정학적 상황으로 인해 공급망이 위협받고 있다고 진단했다.
게오르기에바 총재의 이 같은 발언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세계를 향해 무자비한 관세정책을 펼치고, 상대국이 보복 관세 조치로 맞대응하고 있는 상황에서 나왔다.
게오르기에바 총재는 무역이 더 이상 과거와 같은 수준으로 세계 경제 성장을 견인하지 못하고 있으며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변화는 다른 국가들의 대응을 촉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게오르기에바 총재는 "미국의 새 행정부는 무역, 조세, 공공 지출, 규제 완화, 디지털 자산 등에 대한 정책을 빠르게 재편하고 있으며, 다른 나라 정부들도 접근 방식을 재조정하고 정책을 수정하고 있다"고 했다.
또 아시아 국가들이 서비스 주도 성장으로의 전환을 수용하고 디지털화와 인공지능(AI) 분야를 강화하며 지역 통합을 촉진함으로써 변화하는 규범에 적응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지금 뜨는 뉴스
그는 "표면적으로는 세계가 글로벌 통합에서 멀어지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지역 내 협력이 강화되고 있다"면서 "아시아에서는 무역의 절반 이상이 아시아 지역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외국인 직접투자(FDI)도 마찬가지로 역내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김민영 기자 argus@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