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나 빼고 다 가입한 '그 적금'…연 최대 '9.54%' 금리 상품 뭐길래

시계아이콘00분 35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서민금융진흥원은 오는 2월3일부터 14일까지 청년도약계좌 2월 가입신청을 받는다고 31일 밝혔다.

한편 1월 가입신청 기간 중 총 17만명이 가입을 신청한 청년도약계좌는 2023년 6월 운영 개시 이후 누적 282만명이 가입신청을 하고, 162만명이 계좌를 개설한 바 있다.

청년도약계좌 상품에 대한 보다 자세한 안내는 청년도약계좌 홈페이지 또는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를 참고하거나, 서민금융콜센터나 취급 은행 콜센터로 문의하면 된다.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청년도약계좌 2월3일부터 14일까지 신청
만기 5년동안 월 최대 70만원 한도내에서 자유롭게 납입

서민금융진흥원은 오는 2월3일부터 14일까지 청년도약계좌 2월 가입신청을 받는다고 31일 밝혔다.


나 빼고 다 가입한 '그 적금'…연 최대 '9.54%' 금리 상품 뭐길래 청년의 중장기 자산형성 지원을 위해 출시한 청년도약계좌는 만기 5년 동안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금리 연 4.5~6.0%)하고 정부가 월 납입분에 대해 납입자의 소득 구간에 따라 기여금을 매칭한도(월 40만~60만원)까지 지급하는 적금 상품이다. 게티이미지
AD


청년도약계좌는 매월 취급 은행(KB국민·신한·우리·하나·NH농협·부산·광주·전북·경남은행·iM뱅크) 애플리케이션(앱)에서 가입요건 확인 후 계좌를 개설할 수 있다.


1인 가구는 2월20일부터 3월 14일, 2인 이상 가구는 3월4일부터 3월24일까지 영업일 내에 계좌를 개설할 수 있다.


나 빼고 다 가입한 '그 적금'…연 최대 '9.54%' 금리 상품 뭐길래

청년의 중장기 자산형성 지원을 위해 출시한 청년도약계좌는 만기 5년 동안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금리 연 4.5~6.0%)하고 정부가 월 납입분에 대해 납입자의 소득 구간에 따라 기여금을 매칭한도(월 40만~60만원)까지 지급하는 적금 상품이다.


올해 1월부터는 기여금을 모든 소득 구간에서 납부 한도(월 70만원)까지 확대 지급하고, 확대된 구간에는 매칭 비율 3.0%를 적용한 기여금을 지급한다.


이에 따라 가입자는 수령하는 기여금이 월 최대 2만4000원에서 3만3000원으로 증가해, 만기 시에는 연 최대 9.54%의 일반적금 상품에 가입한 것과 같은 효과를 누릴 수 있다.


한편 1월 가입신청 기간 중 총 17만명이 가입을 신청한 청년도약계좌는 2023년 6월 운영 개시 이후 누적 282만명이 가입신청을 하고, 162만명이 계좌를 개설한 바 있다.


AD

청년도약계좌 상품에 대한 보다 자세한 안내는 청년도약계좌 홈페이지 또는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를 참고하거나, 서민금융콜센터나 취급 은행 콜센터로 문의하면 된다.




권재희 기자 jayfu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