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청양 구기자 전통농업' 국가중요농업유산 지정…"전통기술로 청양 주민 생계 유지 기여"

시계아이콘00분 41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2013년부터 국가중요농업유산 총 18개소 지정

농림축산식품부는 '청양 구기자 전통농업'을 제19호 국가중요농업유산으로 지정했다고 30일 밝혔다.


국가중요농업유산은 농업인이 해당 지역에서 환경·사회·풍습 등에 적응하면서 오랫동안 형성해 온 유·무형의 농업자원 중에서 보전할 가치가 있는 농업자원을 국가가 지정하는 것으로 2013년부터 지금까지 18개소를 지정했다.


'청양 구기자 전통농업' 국가중요농업유산 지정…"전통기술로 청양 주민 생계 유지 기여"
AD

농식품부는 지난 5월 시·군으로부터 유산 후보지를 신청받아 농업유산자문위원회의 검토 및 자문회의, 현장조사 등을 통해 지정요건에 적합한지 여부를 평가해 청양 구기자 전통농업을 제19호 국가중요농업유산으로 최종 지정했다.


청양 구기자 전통농업은 농경지가 적은 불리한 농업환경을 극복하기 위해 자투리땅을 이용해 전통적인 삽목기술로 구기자를 연 2회 수확해 청양 주민의 생계유지에 기여해 왔다. 또 완만한 산간 분지와 어우러진 재배 경관이 형성돼 있다. 지역주민과 지자체는 청양 재래종 등 구기자 유전자원 다양성을 보전하고, 자생적인 구기자생산자연합사업단 등 지역주민협의체와 지방자치단체 간 적극적인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농식품부는 국가중요농업유산 지정과 함께 농업유산 자원의 발굴 및 보전, 계승 등을 위해 향후 3년간 14억3000만원(국비 70%·지방비 30%)을 지원하며, 청양군은 내년부터 예산을 지원받아 청양 구기자 전통농업의 보전 및 활용을 위한 자원조사 및 계획수립, 자원의 보전관리 등에 사용하게 된다.



김고은 농식품부 농촌경제과장은 "이번 청양 구기자 전통농업의 국가중요농업유산 지정은 이상기온 등 환경 위기 속에서 전통적인 구기자 농업을 지켜온 주민들과 지자체의 자긍심을 높이고 상호 협력과 지원을 증진해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세종=주상돈 기자 d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