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중앙회, 중소기업 혁신활동 현황 조사 결과 발표
중소기업 38.0%가 혁신활동 강화를 위해 가장 필요한 지원 방안으로 정부 정책자금 확대를 꼽았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중소기업 800개사를 대상으로 '중소기업 혁신활동 현황 조사'를 실시한 결과, 혁신활동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기업(57.2%)이 필요하지 않다고 응답한 기업(19,2%)보다 3배 많았다고 19일 밝혔다.
혁신활동이 필요하다고 인식한 이유는 ‘주력제품 매출확대’(33.3%), ‘생산성 향상’(26.9%), ‘제품·상품 다양화’(12.5%), ‘기존 거래처 수요 대응’(9.2%), ‘신사업진출’(7.9%), ‘기술 트렌드 변화 대응’(7.7%) 등이었다.
혁신활동 수행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 사람은 ‘기술개발부서 직원’(36.0%)이었으며, ‘대표자(CEO)’(31.0%), ‘기술개발부서 임원’(20.2%), ‘사업전략·기획담당 인원’(8.9%) 등이 그 뒤를 이었다.
혁신활동을 수행하게 된 계기는 ‘자사 상품의 경쟁력 약화’(26.5%), ‘새로운 상품·서비스의 출현 증가’(22.6%), ‘경쟁업체의 시장 점유율 확대’(17.6%), ‘자사 상품 종류의 다양성 부족’(15.5%), ‘소비자 니즈의 빠른 변화’(7.9%), ‘특허 및 지식재산권 보호 강화’(5.0%), ‘제조기술의 빠른 변화 속도’(3.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혁신활동 수행 경비 조달 방법은 ‘자체자금’이 78.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정부?지자체 지원?융자금’(12.9%), ‘은행 등 금융기관 대출금’(8.1%)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혁신활동 수행 시 애로 요인 역시 ‘자금 조달’이 25.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전문인력 확보’(22.8%), ‘혁신정보 및 아이디어 획득’(12.3%), ‘시장에 대한 정보 부족’(12.3%), ‘기술·인력의 보호’(7.3%) 등의 순이었다.
중소기업의 혁신활동 강화를 위해 가장 필요한 지원 방안은 ‘정부 정책자금 확대’(38.0%)였으며, ‘전문 인력 양성 및 채용 지원’(19.8%), ‘금융기관 대출 제한 완화’(10.1%), ‘투자자금 세액공제 확대’(10.1%), ‘시장 및 기술 동향 등 정보제공 확대’(9.4%) 등이 뒤를 이었다.
지금 뜨는 뉴스
추문갑 중소기업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조사에 참여한 중소기업 과반수가 혁신활동의 필요성을 인식한다고 응답했으며, 이는 중소기업의 역동성과 성장 가능성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결과”라며 “정부는 정책자금 확대 등 적극적인 지원 정책을 통해 중소기업의 혁신 성장을 지원해야 한다”고 했다.
김철현 기자 kc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