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무덤으로 변해버린 제주바다…축 처져 흐물흐물 녹아내린 연산호

시계아이콘읽는 시간00분 56초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글자크기

해양시민과학센터 '파란' 이슈리포트 발표
돌산호류·띠녹색열말미잘 등 백화현상 확인
지구온난화→수온 상승 원인…해조류도 영향

지난여름 이상 고수온 현상 등으로 제주 바닷속 연산호가 대량 폐사했을 뿐 아니라 해조류의 이상 현상까지 확인됐다.


무덤으로 변해버린 제주바다…축 처져 흐물흐물 녹아내린 연산호 고수온에 녹아내린 제주 큰수지맨드라미. [이미지출처=해양시민과학센터 '파란'·연합뉴스]
AD

9일 해양시민과학센터 '파란'은 지난 8~9월 제주 바다의 이상 현상을 기록한 이슈리포트 '2024년 여름, 고수온으로 인한 제주 바다 산호충류 이상 현상'을 발표했다. 이 리포트를 보면 서귀포 범섬과 문섬, 섶섬과 송악산 해역에서 ▲분홍바다맨드라미 ▲큰수지맨드라미 ▲밤수지맨드라미 ▲자색수지맨드라미 ▲검붉은수지맨드라미 ▲가시수지맨드라미 등 연산호류가 녹아내렸다. 연산호 군체가 흐물흐물한 상태로 축 처지고 녹아내리는 등 수심 10m가 안 되는 곳에서 피해 상태가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서귀포 범섬 본섬 앞 수심 5~10m 해역의 빛단풍돌산호는 대부분 폐사했다. 서건도 수심 10~15m 지점에서는 거품돌산호 백화 현상(coral bleaching)이 확인됐다. 문섬 꽃동산과 한개창, 서건도 수중 동굴에서도 큰산호말미잘 개체의 백화 현상이 나타났다. 이 외에도 띠녹색열말미잘과 융단열말미잘의 백화 현상도 조사됐다.


백화 현상이란 산호가 하얀 골격을 드러내는 것을 의미한다. 산호에 색상과 에너지를 제공하는 작은 조류(藻類·물속에 살면서 엽록소로 동화작용을 하는 하등 은화식물의 한 무리)가 수온 상승으로 떠나거나 죽으면 백화 현상이 나타난다. 백화현상이 일어나도 산호는 일정 기간 생존하지만, 지속되면 성장이 더뎌지고 질병에 취약해지다가 결국 폐사하게 된다.


무덤으로 변해버린 제주바다…축 처져 흐물흐물 녹아내린 연산호 범섬 본섬 앞에서 발견된 빛단풍돌산호 백화현상. [이미지출처=해양시민과학센터 '파란'·연합뉴스]

산호류와 같은 서식지를 가지는 해조류의 이상 현상도 확인됐다. 서귀포 문섬 바닷속에선 대규모의 감태 군락이 석회관갯지렁이에 뒤덮여 성장에 영향을 받는 현상이 목격됐으며, 방황혹산호말 등 산호말류의 백화현상도 곳곳에서 나타났다.


이런 이상 현상이 나타난 이유는 지구온난화로 인해 제주 바다의 수온이 상승했기 때문이다. 국립수산과학원과 제주도해양수산연구원 등은 올해 8월 제주 바다의 평균 수온은 27.8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2020년 25도와 비교하면 2.8도나 오른 셈이다.



'파란'은 "앞으로 다가올 불안한 미래에 대응하기 위한 국가와 지자체의 역할, 민관 협력이 중요하다"며 "해양수산부와 제주도, 해양 관련 시민단체가 함께 '제주 바다 고수온 대응 해양생태 민관특별조사단'을 구성해 정밀 조사하고 대응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구나리 기자 forsythia26@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