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영국·스웨덴·대만 등 10개 사 선정
접수·선정 과정 등 모든 절차 영어로 진행
정부가 외국인 창업 지원 본격화에 나섰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024년 외국인 창업사업화 지원사업(시범)’의 평과 결과 총 10개 사를 선정했다고 7일 밝혔다.
선정 기업은 IT 분야 6개 사, 바이오 1개 사, 그린테크 1개 사, 제조 1개 사, 커머스 1개 사 등이다. 국적도 미국·영국·스웨덴·대만 등 다양하다.
이번 사업은 기술력 있는 외국인 창업가의 국내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올해 시범으로 추진된다. 모집 공고부터 접수 및 선정 평가까지 모든 절차가 영어로 진행됐다. 사업계획서 제출 양식도 기존 15장에서 6장으로 대폭 축소하는 등 외국인 창업자의 편의를 고려했다.
지난 8월12일부터 지난달 6일까지 외국인 창업자를 모집한 결과 102개 사가 신청해 경쟁률은 10.2대 1을 기록했다. 신청자의 국적도 아시아 50%, 북아메리카 24.5%, 유럽 23.5%, 아프리카 2% 등 다양했다.
선정 절차는 서면 및 발표 평가를 통해 진행됐다. 스타트업의 사업성 및 혁신성뿐만 아니라 국내 정착 가능성 및 국내 경제 기여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했다.
선정된 기업에게는 제품·서비스 현지화 및 고도화, 사업모델(BM) 혁신 등에 소요되는 사업화 자금 최대 6000만원을 지원한다. 또한 글로벌 스타트업 센터와 연계하여 다양한 육성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중기부는 올해부터 내국인 중심의 창업생태계를 글로벌화하기 위해 인바운드 창업 활성화 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지난 7월 말에는 글로벌 스타트업 센터(GSC)를 개소해 사무공간 및 회의실 제공, 비자 취득 및 법인설립 지원, 통·번역 서비스, 네트워킹 및 육성 프로그램 운영 등 외국인 창업을 종합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법무부와도 협력해 민간평가위원회의 사업성·혁신성 평가를 통해 창업비자를 발급하는 ‘스타트업 코리아 특별비자’를 연내 도입해 유망한 해외 스타트업을 적극 유치한다는 계획이다.
지금 뜨는 뉴스
조경원 중기부 창업정책관은 “이번 지원사업에 선정된 혁신적인 외국인 창업가들이 우리 창업생태계를 보완하고 시너지를 창출해 새로운 성장동력이 되기를 바란다”며 “앞으로도 우리나라가 세계적인 창업 허브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개방성을 더욱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금보령 기자 gol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