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협의체 첫 회의 개최
농림축산식품부가 쌀 산업 구조 개혁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쌀 산업 구조개혁 협의체'를 구성하고 2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박범수 농식품부 차관 주재로 첫 회의(kick-off meeting)를 연다.
협의체에는 농식품부, 생산자 및 소비자 단체, 한국알피씨(RPC)협회뿐 아니라 온·오프라인 유통 업체,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등에서 참석한 관계자 20여명이 포함된다.
우리나라 쌀 산업은 구조적인 공급 과잉 상태다. 생산량 감소와 비교해 식습관 변화 등에 따른 밥쌀 소비 감소세가 더 크다 보니 평년작일 경우 매년 20만t 넘는 초과 생산량이 발생하고 있다.
농식품부는 공급 과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벼 재배 면적 감축과 함께 쌀 산업 구조를 전환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협의체를 운영한다.
협의체가 논의하는 주요 과제는 ▲벼 재배면적 조정의 실효성 제고 방안 ▲쌀 품질 고급화 방안 ▲쌀가공식품 등 신규 수요 창출 ▲유통주체·농업인 참여 활성화 방안 등이다.
협의체는 이번 회의에서 기본 방향을 공유하고 구체적인 시행 방안 등을 논의한다. 향후 연내 대책 수립을 목표로 2개 분과(생산반, 유통·소비반)로 나눠 매주 1회 운영할 예정이다.
지금 뜨는 뉴스
박 차관은 "쌀 산업 구조개혁 대책 마련에 있어 현장 농업인의 공감과 참여가 중요하다"며 "협의체를 통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제안 사항을 면밀히 검토해 대책을 수립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세종=김평화 기자 peac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