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통플랫폼 '소플'서 이용 가능
"기업지식 경제지식 실감나게"
필진 모집…원고료·인센티브 지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소통 플랫폼 '소플'에 경제·기업 지식 커뮤니티인 '교양이연구소'를 개설했다고 25일 밝혔다. 교양이연구소는 경제와 기업에 대한 교양을 고양시키겠다는 의미를 친근한 고양이에 빗대 표현한 이름이다.
경제와 기업은 복잡한 지표나 용어가 아닌 일상이라는 면에 착안해 다양한 분야 흥미로운 이슈를 전문가가 쉽고 폭넓게 전하는 지식 길라잡이 코너다. 누구나 글을 읽고 의견을 나누며 지식을 발전시키는 연구소 형식으로 운영되며 필진(연구원)을 모집하고 있다.
소플은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 취임을 계기로 시작된 경제계 소통 플랫폼이다. 현재 약 10만명의 회원이 활동 중이다. 이 플랫폼은 기업인과 일반인이 경제와 기업에 대한 다양한 이슈를 제기하고 의견을 공유하는 공간이다. 지금까지 38만3000여개 의견이 게재됐으며 이러한 의견들은 정리되어 정부와 국회 등에 건의문이나 제언문 형태로 전달된다.
교수, 언론인, 마케팅·재테크 전문가, 실리콘밸리 출신 최고경영자(CEO), 창업 교육 기관 등 다양한 분야 전문가들이 교양이연구소의 필진으로 참여하고 있다. 이들은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숨은 경제 이론을 풀어내거나 스타트업과 소상공인의 성공 방정식을 모색한다. 인공지능이 가져올 미래를 조망하고 생활 밀착형 재테크 팁도 제공한다. 영화와 영어로 살펴보는 경제 이야기 등 흥미로운 콘텐츠도 눈길을 끈다.
'MBTI 경제 꿀팁' 시리즈는 계획형(J)보다 인식형(P)이 여행 비용을 절감한다는 독특한 내용을 담고 있다. 항공권 판매 매커니즘에 따르면 출발일이 임박할수록 가격이 저렴해지기 때문에 즉흥적으로 여행을 떠나는 P형이 더 저렴하게 여행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한 독자는 "다음 여행은 P형으로 떠나보겠다"고 댓글을 남기기도 했다.
'걸그룹으로 배우는 경제학' 코너는 가장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유성운 중앙일보 기자가 아이돌 그룹 피프티 피프티의 멤버 교체 사례를 통해 매몰비용과 메뉴비용 같은 경제학 개념을 쉽게 설명했다.
'골목길 경제학자'로 알려진 모종린 연세대 교수는 소상공인 미래를 제시했다. 그는 제주 '제주 인 매거진', 시흥의 '동키마켓' 등 지역 경제 사례를 들며 콘텐츠와 디지털을 매개로 진화하는 자영업을 설명한다. 한 독자는 "사장이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되는 차별화 사례가 와 닿았다"며 창업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냈다.
대한상의는 경제사나 흥미로운 브랜드의 숨은 이야기를 전해줄 필진을 모집 중이다. 필진으로 참여하면 소정의 원고료와 월간 인기 글 인센티브가 주어진다. 참여 신청은 '교양이연구소' 각 게시물 하단 배너와 소플 인스타그램에서 하면 된다.
지금 뜨는 뉴스
대한상의 관계자는 "소플은 경제계의 다양한 목소리를 모아내는 플랫폼으로, '교양이연구소'를 통해 더욱 풍부한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며 "경제와 기업에 관심 있는 많은 분들의 참여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최서윤 기자 sycho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