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디폴트옵션은 퇴직연금 계좌이전 안 됩니다"[실전재테크]

시계아이콘읽는 시간01분 33초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글자크기

주식, 리츠 등 이전 불가한 상품 확인해야

"디폴트옵션은 퇴직연금 계좌이전 안 됩니다"[실전재테크]
AD

오는 10월15일 퇴직연금 현물이전 제도가 시행된다. 지금까지 퇴직연금 계좌를 다른 금융사로 옮기려면 보유 중인 투자 상품을 모두 매도하거나 만기까지 기다려 현금화해야 했다. 이 경우 수수료가 발생하고, 다시 상품을 하나하나 매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했다. 앞으로 이런 불편 없이 각자 가입한 상품 그대로 다른 금융사 계좌로 갈아탈 수 있게 된다. 다만 상품에 따라 퇴직연금 계좌를 이전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퇴직연금 계좌를 이전할 때 필요한 정보를 모았다.


예금·ETF 등 일부만 이전 가능…퇴직연금 계좌로 증권사 증가 추세

우선 퇴직연금 현물이전은 동일한 연금제도 계좌만 가능하다. 확정기여(DC)형은 DC형으로 옮기고, 개인형 퇴직연금(IRP)은 IRP로만 변경할 수 있다. 확정급여(DB)형은 현물이전 제도에서 제외된다. 다만 DC형 계좌에서 IRP 계좌로 옮기고 싶다면 같은 금융사에서만 이동할 수 있다.


특히 모든 상품을 이전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이전 가능한 상품이 정해져 있다. 예금, 정부보증채권(국채·통안채 등), 회사채 등의 채권, 원리금보장 파생결합사채, 펀드(MMF 제외), 상장지수펀드(ETF)만 계좌 이전이 가능하다. 반면 주식, 리츠, 파생결합증권, 금리연동형보험, 디폴트옵션 등은 계좌이전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나의 포트폴리오에 따라 퇴직연금 계좌 이동을 고려해야 한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2분기 말 DC·DB·IRP 등 퇴직연금 적립금은 394조 2832억원에 달한다. 이 가운데 은행 적립금은 207조원(52.5%)으로 절반을 넘는다. 증권사(94조원)와 생명보험사(78조원)에 적립된 규모는 각각 23.8%, 19.7% 수준이다. 눈에 띄는 점은 2분기 적립금 증가율이다. 증권사의 2분기 적립금 증가율은 3.7%로 은행(2.4%)보다 높다. 증권업계가 퇴직연금 이전제도를 앞두고 마케팅 경쟁을 벌이는 이유다.


재테크 넘어 노후준비로 주목받는 ETF…증권사 고객 유치 경쟁 치열
"디폴트옵션은 퇴직연금 계좌이전 안 됩니다"[실전재테크]

증권사들이 주목하는 지점은 ETF이다. 이제 예금이나 적금보다 수익률이 높은 상품에 관심이 커지는 분위기다. 금융투자협회 자료를 보면 ETF 시장 규모는 2020년 47조원에서 2024년(9월20일 기준) 158조원으로 236.1% 급증했다. ETF 시장이 점점 커지는 이유는 세대를 가리지 않고 ETF 투자자가 증가하고 있어서다.


신한투자증권에 따르면 최근 5년 동안 신한투자증권의 ETF 보유 비중이 가장 높은 세대는 30대(27.5%)로 나타났다. 젊은 세대일수록 주식보다 ETF 투자에 적극적이라는 의미다. 특히 10~30대 투자자의 ETF 비중이 매년 조금씩 확대되고 있다. 또 10~30대는 ETF 첫 거래 이후 87.2%가 주식으로 중복거래를 했으며, 국내 시장 지수보다는 미국 시장 지수에 투자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중장년층의 경우 ETF 투자 규모가 큰 것으로 조사됐다. 자산 규모 기준으로 40~50대가 전체 ETF 투자 자산의 절반 이상(52.3%)을 차지했다.


투자 금액 비중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10대는 14.2%, 20대는 15.6%, 30대는 11.6%, 40대는 9.1%, 50대는 5.9%, 60대 이상은 4.1%였다. 신한투자증권은 "10~30대 젊은 연령 고객들은 상대적으로 적은 자본으로도 다양한 자산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간편하고 효율적인 투자 수단으로 ETF투자를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 같은 ETF 투자 열기는 퇴직연금 계좌로 이어질 수 있다는 기대감이 증권업계에서 커진다. 은행 계좌에서도 ETF 거래가 가능하지만, 실시간 매매는 어렵기 때문이다. 실시간으로 매매하려면 증권사 계좌로 옮겨야 한다. 증권업계는 퇴직연금 현물이전 제도 시행과 함께 고객 유치에 적극 나서겠다는 입장이다.




황윤주 기자 hy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