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인 태풍 전 철저한 사전 대비를 통해 인명피해가 없도록 온 힘을 기울여야 한다.”
박완수 경남도지사가 26일 오전 도청 재난대책본부 상황실에서 열린 여름철 재난안전대책 점검 회의를 주재하며 이같이 말했다.
박 도지사는 “8, 9월은 태풍이 집중되는 시기로 도와 시·군이 하나의 팀이 돼서 철저하게 사전 준비를 해야 한다”며 “먼저 지하차도, 지하상가 등 각종 지하 시설을 점검하고 태풍 발생 시 작동될 차단 시설을 살피는 것도 병행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어 “침수 우려 시설의 철저한 사전통제, 취약지역 주민들의 신속한 대피 조치 등 태풍과 집중호우에 대한 공직자들의 빠른 조치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라며 “올해 태풍이나 호우로 인한 피해 없이 지나갈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하라”고 주문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여름 휴가철을 앞두고 물놀이 사고나 불볕더위에 대비한 도와 시·군의 안전대책과 태풍으로 인한 인명피해 최소화를 위한 중점 관리사항 점검이 이뤄졌다.
경남도는 도민과 경남을 찾는 피서객 안전을 위해 물놀이 지역 226곳과 해수욕장 26곳에 대한 전수 점검을 마친 데 이어, 물놀이 지역 33곳에 구명조끼 무료 대여소를 운영하고 일부 지역을 구명조끼 의무 착용 지역으로 시범 운영할 계획이다.
시·군 직원별 전담 관리지역을 지정해 주말과 성수기 수시 예찰과 점검을 시행하고 물놀이 지열 내 안전 통제선과 안내표시판 설치, 인명구조함 비치 등도 살핀다.
폭염특보 시 작업장 근로자들이 1시간 주기로 10~15분가량 휴식을 취하게 하고 무더위 시간대 실외 작업 지양 등 근무 시간 조정 등을 준수하도록 영농작업장과 건설 현장에 안내한다.
더위 위험 시간 중 농촌지역과 물류단지 등 야외작업장 현장을 돌아보고 폭염 대피 방송도 한다.
나이 든 부모를 둔 자녀 등 고령층 보호자에게 폭염 등 기상 상황과 안부 연락 독려 문자를 발송하는 행복 SMS 알림서비스를 활용해 더위 어르신 등 취약계층의 안전도 챙긴다.
국지성 집중호우와 태풍 대비를 위해서는 재해 취약 시설 955곳 대상 특별점검과 산간, 해안가, 강변 저지대 등 인명피해 우려 지역 재조사 등을 지난 6월 마쳤다.
지금 뜨는 뉴스
경남도는 향후 위험징후가 보이면 침수우려지역을 신속하게 사전통제하고 인명피해 우려 지역에서는 경찰, 소방과 협조해 주민대피를 즉각 시행할 계획이다.
영남취재본부 이세령 기자 ryeo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