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러,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 체결
침략시 상호지원 조항 포함
"양국 관계 새로운 수준 격상"
북한을 방문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러시아와 북한에 대한 국제사회의 제재를 비판하면서 서방에 대한 반감을 드러냈다.
19일(현지시간) 러시아 타스·인테르팍스 통신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이날 평양 금수산 영빈관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정상회담한 이후 공동 언론발표에서 "러시아와 북한에는 독립적인 외교 정책이 있고 협박과 강요의 말을 용납하지 않는다"며 "서방이 정치, 경제 패권 유지를 목적으로 늘려온 수단인 제재에 맞설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미국과 그 동맹국들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에서 주도한 무기한 대북 제재는 뜯어고쳐야 한다"고 했다. 이어 "(안보) 정세 악화에 대해 북한 탓을 하는 것은 용납 불가"라며 "북한은 자체 방위력 강화와 국가 안보, 주권 수호를 위해 합리적인 조치를 취할 권리가 있다"고 주장했다.
푸틴 대통령은 한미일 군사훈련에 대해서도 "이는 한국 및 일본, 그리고 북한에 적대적인 병력들이 참여하는 다양한 군사 훈련의 규모와 강도를 크게 높임으로써 지역 내 군사 기반을 확대하려는 미국의 대립적 정책"이라며 "동북아 역내 전체의 안보를 위협할 뿐 아니라 평화와 안정성을 약화시킨다"고 비판했다.
다만 "러시아는 한반도 무력 충돌 재발 위협을 제거하고 장기적 평화를 구축하기 위한 정치적, 외교적 노력을 계속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더불어 "이번 북러 정상회담으로 러시아와 북한 간 우호·협력관계가 한층 발전하고 전체 지역 내 안보가 강화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푸틴 대통령은 이날 북러 정상회담 후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에도 서명했다. 그는 북한과의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에 한쪽이 침략당할 경우 서로 지원하는 조항이 포함됐다고 밝혔다.
푸틴 대통령은 이번 협정에 대해 "그동안 성과에 안주하지 않고 양국 관계를 새로운 질적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진정 획기적인 문건"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러북간 장기적 관계를 심화시키기 위한 광범위한 목표 및 지침들이 마련됐다"고 덧붙였다.
그는 "러시아는 북한과 군사·기술 협력을 진전시키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며 "새 협정 내에서 군사 분야에서 협력할 것"이라고도 말했다.
김 위원장과 푸틴 대통령은 이날 북러 정상회담에서 약 두 시간에 걸친 일대일 회담을 마치고 이 협정을 체결했다. 북한과 러시아 모두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 전문을 공개하지는 않았다. 이날 체결한 협정은 1961년과 2000년의 조약, 2000·2001년 각각 평양, 모스크바 북러 정상회담 후 나온 공동선언 등을 대체할 예정이다.
한편 이날 협정 체결로 북러 관계는 선린 우호 관계에서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로 격상됐다. 앞으로 북러는 군사 분야를 포함해 더욱 폭넓은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푸틴 대통령은 "양국 관계를 새로운 질적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진정 획기적인 문건"이라며 "러북간 장기적 관계를 심화시키기 위한 광범위한 목표 및 지침들이 마련됐다"고 강조했다.
지금 뜨는 뉴스
김 위원장도 "두 나라 관계는 정치와 경제, 문화, 군사 등 여러 방면에서 호상협력 확대로서 두 나라의 진보와 인민의 복리 증진을 위한 보다 훌륭한 전망적 궤도에 올라서게 됐다"고 평가했다.
김흥순 기자 spor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