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2050년엔 11만명 일찍 죽을 수도"…초미세먼지의 위험성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5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포항공대 연구팀, 초미세먼지 사망자 수 예측

초미세먼지 농도가 현재 수준을 유지한다면 2050년에는 초미세먼지에 따른 조기 사망자가 현재보다 3배로 늘어날 것이란 연구 결과가 나왔다. 4일 포항공대(포스텍) 환경공학부 이형주 교수와 석사과정을 밟고 있는 김나래씨 연구팀은 초미세먼지와 고령화 속도를 고려한 2050년 사망자 수를 예측했다고 밝혔다.


미세먼지는 직경이 10㎛(마이크로미터, 1㎛=1000분의 1㎜) 이하인 먼지, 초미세먼지는 2.5㎛ 이하인 먼지를 뜻한다. 특히 초미세먼지는 사람의 폐 조직인 폐포(허파꽈리)까지 침투하고 혈관으로도 들어가 심혈관 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고령층은 초미세먼지에 더욱 취약하다고 알려져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는 한국에는 더 큰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2050년엔 11만명 일찍 죽을 수도"…초미세먼지의 위험성 지난 5월 12일 미세먼지 농도가 '나쁨' 수준을 보인 서울 하늘.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연구팀이 조사한 결과, 2019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 평균 초미세먼지 농도는 약 20㎛/㎥로 파악됐다. 이는 환경부 연간 대기환경기준인 15㎛/㎥보다 높고 세계보건기구(WHO) 권고 수준인 5㎛/㎥를 한참 웃도는 수치다. 또 연구팀은 인구주택총조사와 장래인구추계 데이터를 통해 2020년에 16%인 고령층 인구가 2050년에는 40%로 증가할 것이란 결과를 얻었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팀은 사망자 수를 예측하는 시나리오를 설계했다.


초미세먼지 농도가 최근 3년 평균 수준인 20㎛/㎥를 유지할 경우, 2050년 초미세먼지에 따른 조기 사망자는 약 11만명에 이를 것이란 예측치가 나왔다. 2020년 조기 사망자 수인 3만4000명의 약 3배에 이르는 수치다. 환경부 연간 대기환경기준인 15㎛/㎥로 초미세먼지 농도를 낮추더라도 2050년 사망자는 약 8만4000명에 이른다는 결과가 나왔다.


연구팀은 2050년 사망자 수를 2020년 수준과 같게 하려면 초미세먼지 농도를 6㎛/㎥까지 줄여야 한다는 연구 결과를 얻었다. 초미세먼지 농도를 현재 정책보다 훨씬 더 많이 줄여야 사망자와 공중 보건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연구 결과는 최근 환경 분야 국제 학술지인 '환경 연구' 온라인판에 실렸다.



한편 올봄 전국 초미세먼지 농도는 5년 새 최저를 기록했다. 환경부는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3월까지 초미세먼지 농도는 평균 21㎍/㎥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2019년 계절관리제를 시행한 이후 5년 사이 최저치다. 계절관리제는 초미세먼지 농도가 높아지는 12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강화된 미세먼지 배출 저감·관리 조치를 시행하는 제도다.




허미담 기자 damda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