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50년 된 폐콘크리트가 시멘트 원료로"…탄소저감 속도내는 유럽

시계아이콘읽는 시간01분 51초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글자크기

그리스, 오스트리아 시멘트 공장 방문
혼합재 사용 늘려 클링커 사용량 줄여
폐비닐 등으로 화석연료 대체

그리스 제2 도시인 테살로니키에서 차로 35분 거리에 위치한 타이탄(TITAN) 에프카르피아 공장. 이 시멘트 공장은 주 원료인 석회석을 줄이는 데 힘을 쏟고 있다. 탄소 저감을 위해서다. 석회석과 부원료인 점토 등을 고온에서 구우면 시멘트 반제품인 '클링커'를 만들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소성로(킬른)를 1450도 이상으로 가열해야 한다. 이때 대량의 이산화탄소가 발생한다. 이 공장에선 시멘트 제조 시 혼합재 사용을 늘려 클링커 사용량을 줄였다. 혼합재 사용이 제한적인 국내 시멘트 업계와 대비된다. 시멘트 산업의 탄소 저감 기술을 확인할 수 있는 현장을 찾았다.


칼로게라코스 안젤로스(Kalogerakos Angelos) 타이탄그룹 전체 공장 총괄책임자는 20일(현지시간) “석회석 사용량을 줄이고 혼합재 사용 비율을 늘리는 것이 효과적인 탄소 저감 방법”이라며 자부심을 드러냈다.


석회석은 시멘트 제조 시 이산화탄소 발생의 주요 원인이다. 시멘트 1t을 제조하면 통상 약 700㎏의 이산화탄소가 나온다. 이 가운데 클링커 생산을 위한 석회석 사용으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가 420㎏으로 전체의 60%를 차지한다. 에프카르피아 공장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7년부터 테살로니키에서 발생하는 폐콘크리트를 비롯해 클링커 대신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혼합재를 시멘트 원료로 사용하고 있다. 혼합재 비율은 25% 정도다.


"50년 된 폐콘크리트가 시멘트 원료로"…탄소저감 속도내는 유럽 지난 23일(현지시간) 오스트리아 비엔나 인근 홀심(HOLCIM) 시멘트사의 매너스도프 공장 내 재활용센터에서 벽돌 등 폐건자재들이 분쇄돼 쌓이고 있다.
AD


혼합재를 통한 시멘트 산업의 탄소 저감 노력은 지난 23일 찾은 오스트리아 빈 인근 홀심(HOLCIM) 시멘트사의 매너스도프 공장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재활용센터 문을 열자 벽돌 등 폐건자재들이 분쇄돼 쌓이는 중이었다. 이곳에서는 시멘트 생산에 사용될 대체 원자재가 한 시간에 50~60t씩 만들어졌다. 분쇄된 폐건자재들은 고운 가루가 돼 재활용센터 내부를 떠다니며 뿌옇게 만들었다.


베른하르트 쾩(Bernhard Kock) 홀심 품질 및 환경담당자는 “석회석 대신 많이 사용하는 게 폐건자재인데 대부분 벽돌 성분으로 구성돼 있다”며 “50년 전에 사용한 시멘트가 다시 돌아와서 재료가 된다고 생각하면 된다”고 말했다. 매너스도프 공장은 다양한 혼합재 사용을 통해 시멘트에 들어가는 클링커의 비중을 기존 95~97%에서 66%로 낮췄다.


유럽은 시멘트를 만들 때 고로슬래그, 폐콘크리트, 실리카흄, 포졸란(2종류), 플라이애시(2종류), 번트셰일, 석회석 미분말(2종) 등 총 10종을 자유롭게 혼합 사용할 수 있다. 사용 가능량도 최대 36%다. 이와 달리 국내는 보통 포틀랜드시멘트 기준 고로슬래그, 플라이애시, 포졸란, 석회석 미분말 등 4종 가운데 2종만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비율도 최대 10%다.


전문가들은 국내에도 유럽과 같은 흐름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김진만 공주대 그린스마트건축공학과 교수는 “철강 산업에서 발생하는 슬래그를 시멘트와 혼합한 슬래그시멘트 한 종류에 불과한 국내와 달리 유럽은 다양한 혼합재를 활용해 석회석 비중을 줄인 혼합시멘트로 온실가스 배출을 최대한 차단한다”며 “국내 혼합재 사용 기준은 유럽에 비해 종류 및 사용량이 현저히 낮은데 국내 시멘트 업계의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KS 기준 완화를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50년 된 폐콘크리트가 시멘트 원료로"…탄소저감 속도내는 유럽 지난 20일(현지시간) 그리스 타이탄 시멘트 에프가르피아 공장에서 아나스타시오스 셀레기디스 재무행정부장이 소성로(킬른)를 가리키며 이산화탄소 저감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또 다른 방안은 폐플라스틱, 폐비닐 등을 대체연료로 사용하는 것이었다. 매너스도프 공장의 대체연료 보관소에도 폐플라스틱 등을 담은 트럭의 모습이 눈에 띄었다. 총 4500㎥ 공간의 보관소는 3개 구획으로 나뉘어 트럭을 맞이했다. 트럭 한 대는 25~30t 분량으로 하루에 300~400t 정도가 보관된다. 이를 통해 매너스도프 공장은 화석연료를 최대 90%까지 대체하고 있다.



35%에 불과한 국내 시멘트 업계의 대체연료 비율을 끌어올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독일의 경우 연료 대체가 100% 이뤄진 시멘트 공장도 등장한 상황이다. 피터 호디노트(Peter Hoddinott) 전 유럽시멘트협회장은 “유럽은 탄소중립 방안으로 클링커 사용 축소를 통한 저탄소 시멘트 확대와 순환자원 재활용을 통해 온실가스 감축을 확대한 뒤 궁극적으로 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기술을 대규모로 도입할 계획”이라며 “한국 시멘트 업계도 현재 다소 정체돼 있는 순환자원 재활용률을 유럽 수준으로 빠르게 상승시키는 것을 최우선 목표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50년 된 폐콘크리트가 시멘트 원료로"…탄소저감 속도내는 유럽 지난 23일 찾은 오스트리아 비엔나 인근 홀심(HOLCIM) 시멘트사의 매너스도프 공장에서 트럭에 실려온 폐플라스틱 등이 대체연료 보관소로 옮겨지고 있다.



테살로니키·빈=금보령 기자 gol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