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1분기 회복 시그널 포착…하반기 반도체 성장 가속"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9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AI 효과로 관련 설비투자 증가 전망

1분기에 전자제품 판매가 늘고 반도체 재고가 안정화하는 등 긍정적인 업황 회복 시그널이 이어지는 가운데 이같은 성장세가 하반기에 가속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는 반도체조사업체 테크인사이츠와 발행하는 '반도체 제조 모니터링 보고서'를 통해 23일 이같이 밝혔다.


"1분기 회복 시그널 포착…하반기 반도체 성장 가속"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라인 모습 / [사진제공=삼성전자]
AD

보고서엔 1분기 전자제품 판매 증가와 반도체 재고 안정화, 웨이퍼 팹 생산능력 증가 등으로 반도체 산업에 긍정적인 시그널이 포착되고 있다는 내용이 담겼다. 산업 성장세는 하반기에 더욱 가속할 수 있다는 예상도 포함됐다.


1분기 전자제품 판매는 전년 동기보다 1% 증가했다. 2분기에는 5%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집적회로(IC) 매출은 1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22% 늘었다. 고성능 컴퓨팅(HPC)을 위한 칩 출하량 증가와 메모리 가격 상승 추세가 이어져 2분기에도 21%의 높은 성장세가 전망된다.


IC 재고 수준은 1분기에 안정화한 상태이며 2분기에는 더욱 개선될 전망이다. 웨이퍼 팹 생산능력은 계속 늘고 있으며 1분기에 전분기 대비 1.2% 증가했다. 분기당 300㎜ 웨이퍼 기준 4000만개를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2분기에는 1.4% 늘어날 수 있다.


지역별로 보면,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높은 생산능력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다만 팹 가동률 측면에서 봤을 때, 특히 성숙 공정에서 상반기 회복 조짐은 없을 것이라는 게 보고서 전망이다. 또 메모리 분야의 경우 재고 조정을 위한 공급 제어로 1분기 팹 가동률이 예상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팹 가동률 추세에 따라 반도체 자본 지출은 보수적인 상태다. 지난해 4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17% 감소했으며 1분기에도 11% 줄었다. 다만 2분기에는 0.7%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메모리 분야에선 2분기 자본 지출이 1분기보다 8% 증가하는 등 반도체 투자가 회복 흐름을 보일 전망이다.


클락 청 SEMI 시니어 디렉터는 "반도체 부문 수요가 회복되고 있지만 분야별 회복 속도가 고르지 않다"며 "인공지능(AI) 반도체와 고대역폭메모리(HBM) 수요가 가장 높으며, 이에 따라 관련 설비 투자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또 "AI 반도체를 공급하는 업체가 소수이기에 AI 반도체가 전체 IC 출하량 증가에 미치는 영향은 다소 제한적"이라고 설명했다.



보리스 메토디에프 테크인사이츠 디렉터는 "생성형 AI의 높은 성장세로 상반기 메모리 및 로직 반도체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며 "다만 아날로그, 디스크리트, 광전자 소자 분야는 소비자 시장의 느린 회복세와 자동차 분야 수요 감소로 인해 조정 기간을 거칠 것"이라고 예상했다.




김평화 기자 peac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