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 화두에 지원 사업으로 확대
각 지자체서 도입, 번번이 중단 사태
예비부부들 "지원 사업으로는 한계"
여성가족부가 예비부부의 소규모 결혼식 지원을 돕는 '작은결혼식' 사업을 재추진한다. 이들의 결혼비용 등 경제적 부담을 줄여주겠다는 취지인데, 각 지자체에서 잇따라 관련 사업이 중단된 사례가 있어 실효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3일 여가부 등 관계 부처에 따르면 과거 여가부에서 추진했던 작은결혼식 사업을 확장해 추진하는 방안이 검토 중이다. 작은결혼식은 예비부부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소규모 결혼식 비용과 장소 등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여가부는 앞서 지난 2012년부터 '작은결혼정보' 홈페이지를 개설해 작은 결혼식을 올릴 수 있는 전국 공공기관 예식장을 추천했다. 또 작은결혼식 박람회를 열어 결혼 문화를 장려하는 등 독려 캠페인도 실시했다.
최근에는 신혼부부들이 결혼식을 치르기 위해 드는 결혼식 비용이 적게는 1000만원대, 많게는 5000만원 가까이 든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이에 저출산 문제까지 지적되면서, 각 지자체에서도 결혼 비용을 지원하는 제도를 내걸고 있다. 여가부 관계자는 "당시 작은 결혼식 사업은 캠페인 수준에 그쳤지만, 지금 검토 중인 사업은 실질적으로 청년이 결혼하는 데 드는 비용 등 지원해줄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시세보다 저렴한 가격에 공공기관 시설을 예식장으로 대관할 수 있는 ‘나만의 결혼식’ 예약 시기를 예식 6개월 전에서 1년 전으로 범위를 넓힌다. 대구시도 작은결혼식 치른 신혼부부 80쌍에 100만원씩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작은결혼식 지원 사업은 앞서 수차례 추진돼 왔던 사업임에도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중단되곤 했다. 울산 중구에서는 지난해 작은결혼식 프로그램을 마련했지만 신청자가 1명도 없어 1년 만에 중단됐다. 인천시도 2022년 '인천형 작은 결혼식' 지원 사업을 지원자 부족을 이유로 중단했다.
여가부의 작은결혼식 사업도 추진 당시 공공기관 예식장이 시설이 부실하고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는 등 준비가 부족했다는 비판이 나왔다. 장소만 빌려줄 뿐, 뷔페, 방송장비 등을 개별적으로 준비해야 한다는 점도 지적됐다.
따라서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예비 신혼부부들이 실제 원하는 지원과 질적인 측면 등을 모두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올해 결혼을 앞둔 30대 직장인 유모씨(익명·여)는 "결혼 준비하는 과정에서 부처나 지자체 사업을 알아봤지만, 너무 소규모고 음식은 알아서 준비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서 마음을 접었다"며 "결혼 문화 자체가 다른 사람의 이목을 신경 써야 하는 부분이 있어 정부 지원으로만 진행하기에도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박준이 기자 giv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