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얼음침대 위 북극곰의 불안한 휴식…올해의 야생사진

시계아이콘01분 59초 소요
뉴스듣기 글자크기

런던자연사박물관 '2023 올해 야생 사진상'
수상자 "기후변화 속 희망 불러오길 기대"

기후변화로 빙하가 빠르게 녹고 있는 북극해 스발바르 제도에서 북극곰의 '불안한 휴식'을 포착한 사진이 지난해 최고의 야생 사진으로 선정됐다. 언제 부서질지 모르는 아슬아슬한 '얼음 침대'에서 몸을 웅크린 채 쪽잠을 자는 북극곰은 평온한 표정이다. 7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자연사박물관은 영국의 아마추어 사진가인 니마 사리카니가 출품한 '얼음 침대(Ice Bed)'를 2023년 '올해의 야생 사진상' 수상작으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얼음침대 위 북극곰의 불안한 휴식…올해의 야생사진 런던자연사박물관이 주최하는 ‘올해의 야생 사진상’ 2023년 수상작으로 선정된 '얼음 침대(Ice Bed)' [사진출처=런던자연사박물관]
AD

박물관은 지난해 출품된 5만여점의 작품 가운데 전문가위원회가 선정한 25점을 후보작으로 추렸다. 이 가운데 공개 투표를 통해 가장 많은 표를 받은 이 작품을 우승작으로 뽑았다. 투표에는 역대 최다 인원인 7만5000여명이 참여했다. 사진은 사리카니가 노르웨이 스발바르 제도에서 3일간의 기다림 끝에 촬영한 것이다. 사진은 자정 직전 촬영된 것으로, 수컷 북극곰은 백야의 빛 아래서 작은 빙산을 팔로 긁어내 기댈 곳을 마련한 뒤 잠이 들었다.


이 사진을 찍은 사리카니는 "기후변화는 인류가 직면한 가장 큰 도전이지만, 이 사진이 희망을 불러오길 기대한다"면서 "우리가 초래한 이 혼란을 바로 잡을 시간이 아직 남아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더글러스 거 런던자연사박물관 관장은 "보는 이의 가슴을 저미는 이 작품을 통해 우리는 지구의 아름다움과 연약함을 마주하게 된다"면서 "얼음 침대는 동물과 서식지 사이의 뗄 수 없는 유대를 상기시키면서 기후변화와 서식지 파괴의 악영향을 시각적으로 보여주고 있다"고 평가했다. 박물관은 '얼음 침대'를 포함해 최종 후보에 오른 5점을 오는 6월30일까지 박물관 전시를 통해 공개할 예정이다.

빙하 소멸로 터전 잃을 위기에 처한 북극곰

북극곰은 지구온난화로 위험을 상징하는 동물이 됐다. 북극곰들은 북극해의 대륙붕 위로 펼쳐진 바다 얼음 위에서 바다표범과 같은 먹잇감을 주로 잡아먹고 살아간다. 지구온난화로 북극의 바다 얼음이 줄어드는 것은 북극곰들에게는 종의 존속까지 위협하는 재앙이다. 먹이를 잡기 쉬운 사냥터가 줄어들고, 좋은 사냥터를 찾기 위한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얼음침대 위 북극곰의 불안한 휴식…올해의 야생사진 빙하 소멸로 북극곰이 사는 영토까지 사라져 살아갈 터전을 잃은 난민이 될 위기에 처하기도 했다. 북극 해빙은 계절 순환에 따라 3월에 최대 면적을 보이고 봄과 여름에 얼음이 녹아 9월에 최소 면적이 된다. 최근 미국 국립빙설자료센터는 9월 기준으로 해빙 면적이 1979년에 약 645만㎢였지만 2021년엔 413만㎢로 줄었다고 발표한 바 있다. 그사이 한반도 면적 10배 이상의 얼음이 증발했다. 빙설자료센터는 북극 해빙 넓이가 10년에 평균 13.1%씩 감소한다고 분석했다.[사진출처=AFP·연합뉴스]

과학자들은 그 결과 북극곰들이 먹이를 먹어 몸에 지방을 축적할 수 있는 기간이 줄어들고, 굶은 채 버텨야 하는 기간이 길어지면서 이번 세기 중반이 되면 전 세계 북극곰의 최대 3분의 2가 사라질 것으로 예상한다. '북극곰의 눈물'의 이유다. 이들을 불행에서 구하려는 이들의 노력으로 북극곰은 2008년 미국에서 멸종위기종법(ESA) 규정에 따른 멸종위기종의 지위를 부여받았다. 미국이 지구온난화를 사유로 멸종위기종에 올린 것은 북극곰이 처음이다.


아울러 빙하 소멸로 북극곰이 사는 영토까지 사라져 살아갈 터전을 잃은 난민이 될 위기에 처하기도 했다. 북극 해빙은 계절 순환에 따라 3월에 최대 면적을 보이고 봄과 여름에 얼음이 녹아 9월에 최소 면적이 된다. 최근 미국 국립빙설자료센터는 9월 기준으로 해빙 면적이 1979년에 약 645만㎢였지만 2021년엔 413만㎢로 줄었다고 발표한 바 있다. 그사이 한반도 면적 10배 이상의 얼음이 증발했다. 빙설자료센터는 북극 해빙 넓이가 10년에 평균 13.1%씩 감소한다고 분석했다.


면적만이 문제가 아니다. 북극 해빙의 질을 평가하는 또 다른 중요한 지표는 얼음의 나이다. 바닷물이 얼어 형성되는 해빙은 겨울에 생겼다가 여름에 녹는 단년생 얼음과 한 번 이상 녹지 않고 여름을 지낸 다년생 얼음으로 나뉜다. 다년생 얼음이 두께 4m까지 이르지만, 단년생 얼음은 가장 두꺼워도 그 절반 정도에 머물고 다년생 얼음보다 쉽게 녹는다. 다년생 얼음은 북극 해빙 면적과 질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다년생 얼음은 1985년 9월 440만㎢에서 2021년 9월 129만㎢로 감소했다. 만들어진 지 4년 이상인 두꺼운 얼음이 1985년 30.6%였으나 2021년에는 3.5%에 불과했다. 북극 해빙 대부분이 형성된 지 1년 미만인 얇은 얼음으로 바뀌고 있다는 뜻이다.



국립기상과학원은 이에 따라 북극의 연평균 빙하량이 21세기 말에 현재 대비 최소 19%에서 최대 76%까지 줄어들 것으로 예측했다. 여름에는 21세기 중반 이후 북극에서 얼음이 거의 소멸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소멸 시기가 더 빠를 것으로 보는 연구도 있다. 북극 해빙의 소멸은 되먹임 효과를 가져와 북극과 지구 전체 기후에 심대한 파급효과를 초래하며 북극곰이란 생명 종에게는 멸종의 길을 걷게 된다.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