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성별 임금격차 완화의 그림자…“30대女 결혼·출산 미뤘기 때문”

시계아이콘00분 31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경력 단절 해소' 정책적 개입 시급

성별 임금 격차가 완화된 배경에는 경력단절 우려로 결혼과 출산을 미룬 30대 여성들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성별 임금격차 완화의 그림자…“30대女 결혼·출산 미뤘기 때문”
AD

28일 한국고용노동교육원 문지선 교수와 한국여성정책연구원 김남주 연구위원은 참여연대 참여사회연구소가 펴낸 '시민과 세계'에 따르면 “고임금 노동자가 될 가능성이 큰 30대 여성이 결혼과 출산을 미뤄 경력 단절을 피하면서 여성의 평균 임금이 높아졌고 그에 따라 성별 임금 격차도 억제된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연구팀은 2017∼2022년 통계청의 '지역별 고용 조사'를 분석한 결과 2017년 남녀의 실질 임금 격차는 45.4%였다. 2018년엔 38.0%, 2019년엔 36.3%, 2020년엔 31.4%, 2021년엔 35.0%, 2022년엔 34.3%로 집계됐다. 30대 여성 임금노동자 수는 2018년 1.0%, 2019년 1.7% 증가했다가 2020년 7.2% 감소했다. 2021년과 2022년 다시 각각 2.2%, 1.4% 증가했다.



연구팀은 "임금 시장에서 구조적 성차별을 겪으면서도 젠더 불평등이 심화되지 않도록 가까스로 방어하고 있는 30대 기혼 여성의 경력 단절 해소를 위한 정책적 개입이 시급하다"며 "노동시장의 끈질긴 성차별적 임금 보상과 관행, 평가 등을 걷어내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임춘한 기자 cho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