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관성으로 인해 3분의1 녹는 건 확정
지구 온난화가 당장 멈추더라도 알프스 빙하의 3분의 1이 사라지는 건 확정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만일 온난화가 현재 추세대로 진행되면 얼음의 절반이 사라질 수 있다.
스위스 로잔대 소속 새뮤얼 쿡 박사팀은 22일(현지시간) 과학 저널 '지구물리학 연구 회보'에 지난 2000년부터 2022년까지의 기후 및 빙하 데이터를 적용, 오는 2050년 알프스 빙하의 변화를 인공지능(AI)으로 시뮬레이션했다.
연구팀은 알프스산맥 빙하를 12개 클러스터로 나눈 뒤 2000년부터 현재까지의 빙하 측정 데이터와 기후 데이터를 결합해 AI를 훈련했다. 뒤이어 온난화가 당장 멈출 경우와 지난 22년간의 추세가 계속될 경우, 또 2010~2022년 추세가 계속될 경우 등 총 세 시나리오를 가정해 알프스 빙하의 미래 변화를 시뮬레이션했다.
예측 결과 지구 온난화가 2022년에 멈춘 것으로 가정한 시나리오에서도 기후-빙하 시스템의 관성으로 인해 얼음이 계속 녹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2050년까지 알프스 빙하의 얼음양은 34%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2000~2022년의 온난화 및 알프스 빙하 변화 데이터를 적용할 경우, 얼음 녹는 속도는 더 빨라져 2050년까지 알프스 빙하의 46%가 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0~2022년 데이터를 적용하면 알프스 빙하의 65%가 사라졌다. 알프스 빙하가 사라지면 스위스 주민, 사회기반시설, 수자원 보유량 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지금 뜨는 뉴스
쿡 박사는 "이 연구를 통해 얻은 예측 결과들도 매우 낙관적인 편"이라며 "현실적인 미래 시나리오와는 거리가 멀고, 이 연구는 2022년까지의 데이터만 사용했기 때문에 실제로는 빙하가 시뮬레이션 결과보다 훨씬 많이 녹을 가능성이 높다"라고 했다.
임주형 기자 skeppe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