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7월부터 자동차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에 홍수특보 지역에 진입할 경우 이를 안내하는 기능이 추가된다. 홍수 대비를 위한 내년 치수 예산은 올해 2배로 늘리고, 신규 댐 등 홍수방어 기반시설을 대폭 확충한다.
환경부는 7일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열리는 제32회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치수 패러다임 전환 대책’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크게 △홍수방어 인프라 확대 △미래기후 고려한 치수안전 체계 확립 △인명피해 예방 위한 골든타임 확보 △치수안전 확보 위한 이행기반 강화 등이 담겼다.
환경부는 우선 홍수특보 알림 문자에 본인이 침수우려지역 내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한다. 운전자가 홍수특보 발령지역에 진입한 경우 내비게이션을 통해 위험 지역 진입 여부를 알려 대피를 유도한다는 구상이다. 홍수 여부를 인지하지 못한 채 특보 발령 지점 부근에 진입했을 경우 즉각 이를 인지할 수 있게 되는 셈이다. 내년 5월부터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해 홍수특보 발령지점을 기존 75곳에서 223곳으로 늘리기로 했다.
지류 및 지천 정비를 강화하기 위해 유역 면적이 크거나 홍수가 발생할 경우 피해가 큰 지방하천을 ‘국가하천’으로 점진적으로 승격한다. 이를 통해 국가하천 구간이 2027년까지 기존 3602㎞에서 4300㎞로 늘어난다. 내년부터 댐이 필요한 지역에 신규 댐을 건설하고 기존 댐의 재개발을 추진하기 위한 10개 댐 기본구상에 착수할 계획이다.
도시침수 대응을 위한 기반시설 구축에도 나선다. 서울 광화문과 강남역 지역에 2028년까지 대심도 빗물 터널을 설치하고, 도림천과 한강을 잇는 지하 방수로를 건설한다. 대심도 빗물 터널은 지하 40~50m 아래에 큰 터널을 만들어 폭우가 내릴 때 빗물을 보관했다가 하천으로 방류하는 시설이다.
홍수취약지구 점검 인력도 강화한다. 하천관리청 위주로 이뤄지던 홍수취약지구 현장점검은 전문기관(하천협회·한국수자원공사 등)이 담당한다. 홍수 취약 지구는 홍수기 '전(2∼3월), 중(8월), 후(10∼11월)'에 하천협회와 한국수자원공사 등 전문기관과 일제 점검한다. 환경부는 내년 2월까지 '홍수기 비상대응계획 수립 지침'을 마련할 계획이며, 각 하천관리청은 이 지침에 따라 매년 홍수 발생 시 대응계획을 마련할 예정이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국민 안전을 위한 정책은 아무리 과해도 지나침이 없다"라며 "하천 정비, 댐 건설 등 홍수취약지역의 주민 안전을 위한 사업을 적기에 이행하고, 내년 홍수기부터는 국민이 쉽고 빠르게 파악할 수 있는 수준으로 홍수특보를 개선하는 등 인명피해 최소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세종=이동우 기자 dwle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