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기시다, 사과 대신 유감 표명..엇갈린 각계 평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0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기시다 '강제징용' 첫 유감 표명
'셔틀외교' 복원 첫걸음 평가
성의있는 호응 못미쳤다는 지적도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7일 강제동원 배상문제를 놓고 “가슴 아프게 생각한다”며 첫 유감의 뜻을 표명했다. 직접적인 ‘사과’ ‘반성’의 표현은 없었다. 대신 ‘저 자신의 심정을 솔직하게 말씀드린 것’이라고 덧붙였다. ‘강제징용’ 피해자에 대한 언급이 있긴 했지만 일본 정부 차원이 아닌 개인적인 유감 표명이라고 의미를 다소 축소했다.


윤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는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102분간 정상회담을 한 뒤 공동기자회견에서 이같은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정상회담은 지난 3월16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한·일 정상회담 이후 52일만이자, 일본 총리의 양자 방문으로는 12년만이다.


기시다, 사과 대신 유감 표명..엇갈린 각계 평가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초미의 관심사였던 과거사에 대한 진전된 사과 부분에 있어서 역대 내각의 입장을 계승하는 가운데 유감 표명 수위의 언급이 있었다. 기시다 총리는 기자회견에서 “지난 3월 윤 대통령의 방일시 저는 1998년 10월 발표된 한·일 공동선언을 비롯해 역사인식에 대한 역대 내각의 입장을 전체적으로 계승한다고 명확하게 말씀드린 바 있다”며 “이같은 정부 입장은 앞으로도 흔들림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기시다 총리는 “당시 어려운 환경 아래에서 다수의 분들께서 대단히 힘들고 슬픈 경험을 하신 것을 대단히 가슴 아프게 생각한다”고 했다. 이에 ‘가슴 아프게 생각한다’는 말이 강제징용 피해자들에게 한 말이냐는 한국 기자의 질문에 분명하게 답변하지 않았다.


기시다 총리는 “이 말은 그 당시 힘든 경험을 하신 분들에 대해서 제 자신의 심정을 솔직하게 말씀드린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어려운 시기 극복해오신 선조들의 노력을 계승해 그야말로 미래를 위해 윤통 비롯한 한국 측과 협력을 해서 양국 국민에 이익이 되는 협력관계 구축하고자 한다”고 부연했다.


기시다 총리의 이같은 발언이 ‘제3자 변제’라는 통큰 양보를 했던 윤석열 정부에 ‘상응하는 호응’이냐에 대해서는 각계의 평가가 엇갈리고 있다.


기시다, 사과 대신 유감 표명..엇갈린 각계 평가 [이미지출처=연합뉴스]

대통령실 관계자는 “기시다 총리가 한국에 올 때 나름대로 생각했던 본인의 인식과 발언을 준비했다가 자발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추측된다”면서 “과거 역사 인식에 대한 계승, 그리고 강제징용 해법 피해자에 대한 언급이 있었다”고 봤다. 그러면서 “앞으로 한일 관계가 미래로 나아가아는 데 과거사에 대해 곱씹어보고 필요하면 자성도 하고 미래를 기약하는 의미에서 히로시마 공동 참배를 제안해 온 것”이라고 했다.


최은미 아산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일본 총리로서 공식적으로 (사죄에 대해) 언급이 없었던 부분은 우리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는 부분”이라면서도 “마음을 담아서 진정성 있게 표현해 준 것, 그리고 셔틀외교 복원의 첫걸음이 되는 일정이었다는 점은 평가받을 부분”이라고 봤다.


기시다, 사과 대신 유감 표명..엇갈린 각계 평가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여야의 평가는 극명히 엇갈렸다. 유상범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기시다 총리는 역내 내각의 역사인식에 대한 계승 입장은 앞으로도 흔들리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했다”며 “이제는 궤도에 오른 셔틀외교를 통해 진정성 있는 대화와 소통으로 난제들을 하나하나 풀어가면 된다”고 했다. 장예찬 국민의힘 청년최고위원은 “강제징용 피해자들에 대한 기시다 총리의 사과, 한국 시찰단의 후쿠시마 오염수 현장 방문 등 주요한 성과가 있었다”고 평가했다.



반면 강선우 민주당 대변인은 “기시다 총리의 반성과 사과 역시 없었다. 강제성에 대한 인정 또한 없었다”며 “강제동원 문제에 대해 (기시다 총리는) '당시 어려운 환경 속에서 일하게 된 많은 분들이 힘들고 슬픈 경험을 하신 데 대해 가슴 아프게 생각한다'고 얼버무렸다. 이마저도 개인의 생각이라고 의미를 축소하기에 급급했다”고 비판했다.




구채은 기자 faktu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