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0.6초만에 인식…에스원 얼굴인식 더 똑똑해졌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인식 정확도 99.9%
리더기 1대 5만명 관리

에스원이 더 빠르고 정확하게 본인 인증이 가능한 얼굴인식 기술을 선보였다. 인식 속도는 기존 대비 절반으로 줄이면서 관리 인원은 16배 늘렸다.


에스원은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해 기존 리더기의 인식 속도와 정확도 등을 개선한 '얼굴인식 리더2.0'을 출시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에 선보인 '얼굴인식 리더 2.0'은 인식 소요 시간을 1초에서 0.6초로 단축했다. AI 알고리즘 개선을 통해 인식 속도는 절반 수준으로 낮추고 정확도는 높였다.


인식 속도에만 치중하면 얼굴을 잘못 인식할 확률이 높아 보안에 공백이 생길 우려가 있고 정확도만 신경 쓰면 다수 인원이 몰리는 시간에 출입이 지연될 수 있다. 에스원은 리더기에 내장된 카메라의 얼굴인식 가능 거리를 1m에서 1.3m로 늘려 얼굴을 멀리서 인식하고 판독하는 시간을 사전에 확보했다. 출퇴근 시간 대형 사무실 건물이나 공장 등 수많은 이들이 몰리는 상황에서도 얼굴인식 리더 쪽으로 얼굴을 가까이 향하게 하거나 인식을 돕기 위해 일부러 걸음 속도를 늦출 필요가 없어진 셈이다.


0.6초만에 인식…에스원 얼굴인식 더 똑똑해졌다 에스원 직원이 고객에게 얼굴인식리더 2.0의 기능을 설명하고 있다.
AD

또한 기존의 얼굴인식 리더는 얼굴 일부의 특징을 추출하고 비교해 인증하는 방식의 AI 알고리즘으로 운영했지만 이번 제품은 기존 대비 약 2배가량 많은 특징을 추출한 후 비교하는 방식의 알고리즘을 적용해 인식 정확도를 높였다. 이 알고리즘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테스트 결과 99.9%의 얼굴인식 정확도를 보였다.


얼굴인식 리더 2.0은 기존 리더기에 비해 얼굴인식 리더기 1대당 출입 관리를 할 수 있는 인원도 16배나 늘었다. 지난 2018년에 출시된 1.0 제품은 기기 사양과 초창기 딥러닝 기술이 적용된 AI 알고리즘의 한계로 출입 관리 가능 인원이 3000명에 그쳤다. 이번 제품은 기기 사양을 업그레이드하고 딥러닝 기술을 개선해 한 대가 관리할 수 있는 인원을 5만 명까지 확대했다.


설치 가능 범위도 실내에서 실외로 확대했다. 기존의 리더기는 어두운 곳에서는 얼굴인식이 어렵거나 먼지나 물이 기기에 스며들면 장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실외에는 설치할 수 없었다. 얼굴인식 리더2.0은 적외선 카메라에 추가로 일반 카메라까지 내장해 실외의 어두운 장소에서도 얼굴인식이 가능하도록 했다. 또 액체나 이물질이 들어갈 수 없도록 설계해 먼지나 분진이 많은 건설 현장에서도 기기 장애 걱정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다만 강한 햇빛이나 역광이 있을 경우 얼굴인식이 어려울 수 있어 실외에서는 직사광선을 피해 가림막 등이 있는 곳에 설치해야 한다.



에스원 관계자는 "마스크 의무화가 점진적으로 해제되고 있는 상황에서 얼굴인식 리더와 같은 언택트 솔루션 도입에 대한 니즈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안전은 물론 편의까지 제공할 수 있는 관련 솔루션 개발에 더욱 박차를 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철현 기자 kc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