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물가 급등 vs 돈맥경화 사이 '한은' 다음 통화정책 방향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01분 19초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글자크기

금리인상 폭 놓고 금통위원들도 엇갈려

물가 급등 vs 돈맥경화 사이 '한은' 다음 통화정책 방향은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아시아경제 서소정 기자] 소비자물가가 석 달 만에 다시 반등하면서 한국은행의 통화정책에도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국제 유가 하락에도 불구하고 5%대를 기록 중인 물가가 쉽게 꺾이지 않아 적극적인 인플레이션 대응이 필요하지만 내년 세계 경제가 침체 국면에 진입하면서 국내 경제 성장세도 둔화할 것이란 우려가 확산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레고랜드 사태로 촉발된 단기자금 시장 혼란도 주요 변수가 되고 있다.


한국은행은 2일 오전 이승헌 부총재 주재로 ‘물가 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하고 최근의 물가 상황과 향후 물가 흐름을 점검했다. 이 부총재는 "앞으로 소비자물가는 내년 1분기까지 5%대의 높은 오름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며 "수요측 물가압력을 반영하는 개인서비스물가는 당분간 6%대의 오름세를 이어갈 전망"이라고 밝혔다. 그는 "향후 물가 전망 경로상에는 국내외 경기하방압력 증대 등에 따른 하방리스크와 고환율 지속, 주요 산유국의 감산 규모 확대 등에 따른 상방리스크가 혼재해 있어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10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석유류 오름폭 축소 흐름이 이어졌으나 가공식품 오름세 확대, 전기·도시가스요금 인상 등으로 5%를 상당폭 웃도는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물가 상승 압력이 지속되면서 물가 안정을 위한 기준금리 인상과 시중 유동성 축소 기조를 이어가야 하는 상황이지만 국내외 여건은 녹록지 않다. 채권시장을 중심으로 자금 경색이 쉽게 풀리지 않고 있는 데다 내년 경기 침체 우려가 불거지면서 금리 인상 폭과 속도를 조절해야 한다는 의견이 급부상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은이 전날 공개한 10월 금융통화위원회 의사록에 따르면 향후 금리 인상 폭을 두고 위원들의 의견도 엇갈렸다. 한 금통위원은 "기준금리 인상을 가속화해 정책 기조를 긴축적 수준으로 조기에 전환하고, 물가 안정세가 확고히 다져졌다고 판단될 때까지는 그 수준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다른 위원은 "통화정책의 긴축기조를 이어가되, 금리 인상의 폭과 속도는 향후 국내외 경제와 금융 상황을 봐가며 유연하게 결정해 나가야 한다"며 신중론을 펼쳤다.


10월 빅스텝(기준금리 0.50%포인트 인상)의 주요 근거로 작용했던 원·달러 환율도 통화정책의 주요 변수다. 이날 오전 원·달러 환율은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앞두고 1410원대 후반부터 1420원대 초반에서 오르내리며 관망세를 보이고 있지만 Fed의 긴축 속도조절에 대한 기대가 꺾인다면 상승세로 전환할 수 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근원물가가 13년 8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낸 데다 기대인플레이션도 높아 이달 금통위에서 세 번째 빅스텝이 단행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미국과의 금리차로 인한 자본유출 문제나 물가 제어를 위해 금리인상이 불가피하다"면서 "내년 경제 성장세 둔화 우려가 있는 것은 맞지만 현 고물가 상황은 통상적인 금리인상 폭으로 대응하기는 어려운 국면"이라고 말했다.




서소정 기자 ss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