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카카오 망하면 난 이직".. 카톡 먹통에도 팔짱낀 카카오 직원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41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카카오 망하면 난 이직".. 카톡 먹통에도 팔짱낀 카카오 직원 경기 성남시 판교 카카오 사옥 / 사진=연합뉴스
AD

[아시아경제 임주형 기자, 송현도 인턴기자] "나라 구하는 보람으로 하는 일도 아닌데 책임감 가질 필요가 있나."


데이터센터 화재로 인한 '카카오 먹통 사태'가 한참 진행 중이던 지난 16일,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블라인드'의 카카오 페이지에는 장애 대응을 성실히 하지 않겠다는 한 직원의 글이 올라왔다. 사내 규정상 주말 근무는 사실상 '무급'에 가깝기 때문에 책임감을 갖고 일할 필요가 없다는 주장이다.


'카카오 무급 논란'은 17일에도 이어졌다. 이날 카카오 블라인드 페이지에 글을 쓴 한 직원은 "놀금(금요일 휴무)으로 인한 무급이건 노사 협의에 따른 무급이건 무급은 무급"이라며 "카카오 망하면 나는 이직하면 되고, 안 망하면 받는 만큼만 일하면 된다. 줄 생각 없는데 오버해서 일하면 100% 실망하는 게 카카오"라고 했다.


"카카오 망하면 난 이직".. 카톡 먹통에도 팔짱낀 카카오 직원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블라인드'에 올라온 카카오 직원의 글 / 사진=블라인드 캡처


일부 카카오 직원의 '무급' 주장은 카카오 특유의 복지 제도에서 비롯된 오해로 보인다. 카카오는 지난 7월부터 이른바 '놀금'을 시행 중이다. 매달 격주로 금요일을 쉬는 제도다. 즉, 놀금을 적용하면 매월 카카오 직원은 2일 치 정규 근무시간인 16시간이 빠지는 것이다.


하지만 초과근무 수당은 법정 근로시간을 넘어섰을 때부터 적용된다. 따라서 카카오 직원들은 매달 16시간의 근무시간을 따로 채운 뒤에야 추가수당을 받을 수 있다. 다만 이렇게 되면 주말 근무를 하더라도 당장 월급에 아무 변동이 없는 것은 사실이므로, 직원 입장에서는 '공짜 근무'를 한 것처럼 느껴질 수 있다.


현재 카카오 내부에서는 직원들의 불만이 누적된 것으로 보인다. 직원 A씨는 아시아경제에 "카카오 내부에는 100개가 넘는 자회사가 있는데, 이들 자회사마다 복지 혜택이 다르다. '놀금' 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일부 계열사에서 이번 무급 논란이 불거졌다"며 "수당 신청과 관련해서도 부서별로 이야기가 다른 듯하고, 부서 간 복지 격차도 있다 보니 지금껏 억눌려 있던 불만이 한 번에 터지는 것 같다"라고 전했다.


다만 또 다른 직원 B씨는 "불만 가진 사람들은 많겠지만 아직은 당장 직면한 서비스 장애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급박함이 더 앞서고 있다"라며 "회사에 항상 만족할 수는 없는 노릇이고, 오히려 지금이 예전보다 부서 간 단결은 더 잘 된 편이라고 생각한다"라고 했다.


일각에서는 2030 세대 등 젊은 층이 주축인 카카오 직원들의 '노동'에 대한 시각이 반영된 논란인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MZ세대 근로자들은 회사의 위기 상황과는 관계없이 노동자 개인의 확고한 '보상'에 따라 움직인다는 설명이다.


"카카오 망하면 난 이직".. 카톡 먹통에도 팔짱낀 카카오 직원 젊은 세대 근로자 사이에서는 이른바 '조용한 사직(quiet quitting)'이라는 말이 유행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최근 MZ세대 사이에서 유행하는 이른바 '조용한 사직(quiet quitting)'이라는 말이 이 같은 추세를 반영한다. 조용한 사직은 미국 20대 엔지니어 자이드 플린씨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틱톡'을 통해 소개한 유행어로, 워싱턴포스트(WP) 등 외신에도 보도될 만큼 반향을 일으킨 바 있다. 플린씨에 따르면 조용한 사직은 "주어진 일 이상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는 것"이다. 즉, 조직안에서 맡은 업무가 자신에게 직접적인 이득을 주지 않는 한 열성을 다할 필요가 없다는 태도다.


'조용한 사직'은 이미 국내에서도 대세로 자리 잡은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12월 구직 플랫폼 '사람인'이 직장인 3293명에 '딱 월급 받는 만큼만 일하면 된다'를 주제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전체 응답자 가운데 70%는 '동의한다'고 답변했다.


연령별로도 2030세대의 반응이 두드러졌다. 동의한 이들 중 20대는 78.1%, 30대는 77.1%를 기록해 40대(59.2%), 50대(40.1%)보다 현저히 높았다.


전문가는 젊은 세대 근로자에게 최적화된 새로운 업무 환경이 필요하다고 설명한다. 김난도 서울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지난 5일 '트렌드 코리아 2023' 출간 기자간담회에서 "최소한의 일만 하는 '조용한 사직', 일터 복귀를 거부하는 '대사직' 현상은 조직과 개인 모두에게 새로운 방식의 노동을 고민하게 할 것"이라며 "MZ 세대에게는 구성원이 성장할 수 있는 회사가 그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일각에서는 노동자의 소극적인 태도가 기업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우려하기도 한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노동 수단의 다각화, 개인주의의 보편화 등으로 젊은 세대는 조용한 사직을 선호하는 것 같다"며 "하지만 지나치게 주인 의식이 결여된 태도는 궁극적으로 회사의 이익뿐만 아니라 개인의 발달을 저해하는 요소가 될 수 있다"라고 지적했다.




임주형 기자 skepped@asiae.co.kr
송현도 인턴기자 doso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