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로마 크기' 얼음 덩어리 완전히 붕괴…남극 온도 40℃ 이상 올랐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5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로마 크기' 얼음 덩어리 완전히 붕괴…남극 온도 40℃ 이상 올랐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지난 2월 공개한 인공 위성 사진에 남극 동부 지역 '콩거(Conger) 빙붕'의 붕괴 전 모습이 담겨 있다. [이미지출처=AP연합뉴스]
AD


[아시아경제 황수미 기자] 남극 동부 지역에서 이탈리아 로마 크기만 한 얼음 덩어리가 완전히 붕괴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현지 시각) CNN, 가디언 등 외신에 따르면 이날 미국 국립빙하센터(USNIC)는 약 1천200㎢의 면적을 지닌 '콩거(Conger) 빙붕'이 이달 중순께 붕괴했다고 밝히며 위성사진을 함께 공개했다.


빙붕은 남극 대륙에서 빙하를 타고 흘러 내려와 바다에 떠 있는 거대한 얼음덩어리다. 빙붕은 내륙으로 접근하는 난류의 흐름을 막아 빙하를 유지하는 장벽 역할을 한다. 이 빙붕이 줄어들면 빙하가 녹아 없어지는 속도가 빨라져서 해수면 상승을 가속화할 수 있다.


콩거 빙붕은 남극 동부가 이례적으로 높은 기온을 기록했던 때 완전히 무너져내린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18일 기준 남극 동부 내륙에 있는 콩코르디아 기지의 관측소 기온은 -11.8℃까지 치솟았다. 이는 평년 기온보다 40℃ 이상 높은 수치다.


과학자들은 이번 붕괴가 이례적으로 빠르게 진행됐다고 분석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우즈홀 해양 연구소에서 일하는 지구행성학자 캐서린 워커 박사는 콩거 빙붕이 2000년대 중반부터 줄어들기 시작했지만, 그 속도가 2020년 초까지는 점진적이었다고 했다. 그러다 지난 4일 기준 빙붕의 면적이 지난 1월과 비교해 절반 이상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워커 박사는 콩거 빙붕이 비교적 작은 편이지만 2000년대 초 라르센 빙붕B가 붕괴한 이후 남극 대륙에서 발생한 중요한 사건으로 꼽힌다고 덧붙였다. 남극 반도의 라르센 빙붕B는 2002년 급속도로 붕괴하면서 기후 위기의 심각성을 보여줬다.


미국 미네소타대의 연구 조교수이자 빙하연구가인 피터 네프는 남극 동부에서 빙붕이 붕괴한 것에 놀라움을 나타냈다. 지금까지 알려진 바에 의하면 얼음과 암반의 구조 차이로 인해 남극 동부는 서부와 같은 속도로 얼음이 녹을 수 없다는 것이다.


실제로 남극 대륙 중에서 얼음양이 압도적으로 많은 남극 동부는 서남극과 비교해 위협을 덜 받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네프 조교수는 이번 빙붕의 붕괴가 이달 중순 관측된 '대기천' 현상에 따른 고온에 의한 것이라면 그 과정에 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근 남극 동부에서는 이상 고온 현상이 계속해서 보고 되고 있다. 과학자들은 이 원인으로 대량의 수증기가 대기 중에서 강처럼 긴 띠 형태로 움직이는 대기천 현상을 지목한다.


이 대기천은 지난 15일 남극 동남부 해안 지대에 상륙해 호우를 쏟아냈고 이로 인해 인근의 빙하가 녹아 대륙 안쪽까지 습기가 퍼졌다. 마침 이례적으로 강력한 열돔 현상이 나타나 이런 습기가 다른 곳으로 퍼져 해소되지 못한 채 남극 동부 지역에 집중되면서 열을 유지하는 역할을 했다는 설명이다.



과학자들은 이번 콩거 빙붕 붕괴가 해수면 상승에 큰 영향은 없으리라고 전망하면서도 기후 위기의 전조 신호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당부했다.




황수미 기자 choko216@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