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올 상반기 '자원안보특별법' 발의…연내 제정 목표
신재생에너지·희귀광물 등 포괄…공급자 비축의무 강화
'관치경영' 우려 목소리도…“기업 반발 상당할 것”
[아시아경제 세종=이준형 기자] 정부가 특별법 제정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비축을 의무화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이차전지 핵심소재인 희토류 등 희귀광물은 ‘에너지전환 전략광물’로 지정해 공급망 관리를 강화하는 게 핵심이다. 주요국이 자원을 무기화하는 경우가 늘자 모든 자원을 포괄할 국가 수급관리 체계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14일 관계 부처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연내 국회 통과를 목표로 ‘자원안보특별법’ 제정을 추진 중이다. 산업부는 올 상반기 의원입법 형식을 통해 법안을 발의할 계획이다. 대표 발의는 황운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맡는다. 산업부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황 의원과 특별법 관련 논의를 검토했다. 임박한 대선 상황 등을 감안해 발의 시기는 올 4월 이후로 조율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가 특별법 제정을 추진하는 건 신재생에너지와 핵심광물에 대한 수급관리 체계가 빈약하다는 판단에서다. 전통 에너지원과 달리 신재생에너지는 정부가 비축, 방출 등 수급을 통제할 법적 근거가 없다. 희토류, 텅스텐 등 일부 핵심광물은 조달청과 한국광물공사를 통해 비축물량을 확보하고 있지만 민간 영역까지 개입할 수는 없다.
핵심은 위기대응 체계 구축이다. 지난해 말 불거졌던 요소수 부족 사태 등 자원위기 발생시 상황별로 대처할 수 있는 ‘한국형 자원안보 위기대응 매뉴얼’을 개발하는 방안이다. 위기대응 일환으로 자원 및 신재생에너지 공급자의 비축 의무화도 추진한다. 풍력, 태양광 등 전력으로 전환되는 신재생에너지의 경우 에너지 발전에 필요한 원재료 비축이 의무화된다. 태양광 패널 핵심소재인 폴리실리콘의 비축 의무가 설정되는 식이다. 수소 운반에 최적화된 암모니아도 비축 의무화 대상이다. 희토류 등 희귀광물은 산업부 장관이 에너지전환 전략광물로 고시하면 비축 의무화 대상이 된다.
일각에선 ‘관치(官治) 경영’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법안이 정부의 민간 개입을 강화하고 있어 지나친 경영권 간섭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지금 뜨는 뉴스
강천구 인하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는 “민간 공급자의 비축 의무를 강화하는 방안은 기업 반발이 상당할 것”이라며 “자원안보 전략은 자원 개발과 비축을 병행해야 하는데 (법안은) 비축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다”고 말했다.
세종=이준형 기자 gils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