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식어가는 중국 성장 엔진(종합2)

시계아이콘읽는 시간2분 2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작년 4분기 GDP 간신히 4%방어, 연간 기준 8.1% 선방
문제는 올해부터 시작…中 인프라투자 등 돈 풀어 경기부양

[아시아경제 베이징=조영신 특파원] 지난해 중국의 4분기 경제성장률이 크게 둔화됐다. 중국 경제가 빠르게 급랭하면서 전 세계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커졌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도 성장세 둔화를 염두, 21개월만에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대출 금리를 전격 인하했다.


식어가는 중국 성장 엔진(종합2)
AD


중국 국가통계국은 지난해 4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4%를 기록했다고 17일 밝혔다.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과 석탄 부족에 따른 전력난, 코로나19 부분적 재확산 등 국내외 악재가 겹치면서 4분기 성장률이 크게 떨어졌다.


다만 연간 기준 성장률은 8.1%로 집계, 중국 정부의 당초 목표치인 '6% 이상'을 달성했다. 중국 경제성장률은 지난해 1분기와 2분기 전년동기 대비 각각 18.3%와 7.9% 기록하며 코로나19 충격에서 벗어나는 듯했다. 하지만 지난해 3분기부터 성장세가 급격히 꺾이는 전형적인 '상고하저' 모습을 보였다. 당시 중국 경제가 3분기 5% 이상의 성적표를 낼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었지만 5% 벽을 넘지 못하고 4.9% 성장하는데 그쳤다. 기저효과를 감안해도 4%대 성장은 동력이 빠르게 떨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4분기 중국 경제 성장세 둔화에 대한 위험 신호는 이미 곳곳에서 나왔다. 금리가 대표적이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지난해 12월 기준금리 격인 1년 만기 대출우대금리(LPR)를 0.05%포인트 낮췄다. 코로나19 창궐로 경제가 크게 흔들리자 인민은행은 2020년 4월 LPR를 0.20%포인트 낮춘 바 있다. 앞서 지급준비율(RRR)도 0.5% 포인트 인하했다. 올해 1분기 경제 상황에 따라 추가 금리 인하 등 중국 정부가 돈을 풀어 경제를 떠받치겠다는 뜻을 피력하고 있다.


중국 경제가 직면한 3가지 압력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이 지난해 12월 열린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 2022년 중국 경제가 '수요 위축', '공급 충격', '기대 약화'이라는 3중 압력에 직면해 있다고 진단했다. 시 주석의 입에서 이 같은 우려가 나왔다는 것은 중국 경제가 심각한 위험에 직면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실제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17일 은행 등 금융기관에 공급하는 정책 자금 금리인 1년 만기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대출 금리를 기존 2.95%에서 2.85%로 0.1%포인트 인하했다. MLF 금리를 내린 것은 2020년 4월 이후 21개월 만이다.


리커창 중국 총리는 중앙경제공작회의 이후 각 지방 정부에 특별채권 발행을 서둘러 달라고 지시했다. 돈을 풀어 경기를 부양하겠다는 것이다. 올해 중국 경제성장률 목표치는 '5% 이상'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는 지난해 목표치 '6% 이상'보다 1%포인트나 낮은 것이다.


세계 경제의 뇌관, 중국 경제 비상등

중국 경제에 대한 위험 신호는 지난해 3분기부터 나왔다. 3분기 중국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4.9%. 5%는 충분히 넘을 것이라는 기대는 한순간에 무너졌다. 4분기 들어선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과 석탄 부족이라는 악재가 터졌다. 지난해 10월 중국 제조업 구매자지수(PMI)가 49.2까지 곤두박질쳤다. 화력발전 의존도가 높은 중국에서 석탄 재고 부족 현상은 제조업에 직격탄을 날렸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12월 지급준비율(RRR)과 기준금리 격인 대출우대금리(LPR)를 인하했다. 중국 정부의 통화 완화 정책은 2022년을 겨냥한 조치다. LPR와 RRR 인하에 시장이 반응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통상 2주에서 4주의 시간이 필요하다. 3분까지 성장률을 감안, 2021년 당초 목표인 '6% 이상' 달성에는 문제가 없다는 판단에 따라 LPR와 RRR 인하 시기를 조율한 것으로 보인다. 중국 내부에선 경기 상황에 따라 올해 1분기 추가 금리 인하가 단행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MLF 금리 전격 인하도 이와 같은 맥락이다.

식어가는 중국 성장 엔진(종합2)


경기 부양에 나서는 중국

금리 인하는 돈을 풀겠다는 의미다. 실제 중국 정부는 노골적으로 각 지방에 서둘러 특별채권 발행을 인프라 투자에 나서 달라고 지시했다. 중앙 정부의 지시에 따라 상하이시와 쓰촨성(省), 장쑤성, 허베이성 등 10개 성ㆍ직할시ㆍ자치구가 3조 위안(한화 560조원) 규모의 인프라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대부분 공항ㆍ도로ㆍ항만 등 교통 관련 사업이다.


오는 3월 예정된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이후 중국 각 지방정부가 인프라 등 고정자산투자 계획을 잇따라 발표할 것으로 전망된다.


탕둬둬 중국사회과학원 경제연구소 주임은 "중국 거시 데이터에서 부동산 등 인프라 투자가 증가하면 그만큼 중국 경제가 좋지 않다는 신호"라고 말했다.


대규모 인프라 투자의 함정

중국 경제 전문가들은 지난해 중국 정부가 적극적인 재정정책을 펴겠다고 밝혔지만 실제 집행은 적극적이지 않았다고 비판해 왔다. 중국 정부가 부동산을 잡기 위해 돈을 풀지 않았다는 것이다.


실제 중국 재정부가 발표한 10월 말 기준 중국 각 지방의 신규 발행 채권 규모는 3조5130억 위안(한화 656조원)이며 이중 특별채권 발행 규모는 목표의 76%인 2조7578억 위안에 불과하다. 고정자산 투자에 돈이 유입되면 부동산이 다시 뛸 수 있다. 대규모 인프라 투자는 3년 내 회색 코뿔소로 지목된 부동산을 잡겠다는 중국 정부의 의지가 퇴색될 수 있다.



물가 상승이라는 복병도 걱정거리다. 생산자물가(PPI)와 소비자물가(CPI) 모두 상승, 내부적으로는 민생안정에 악영향을, 외부적으로는 제조 물가 상승을 유도할 수 있다. 제조 물가 상승은 수출 가격 상승으로 이어진다. 수입국의 생산 및 소비자 물가에 영향을 미친다.




베이징=조영신 특파원 asch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