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오현길 기자]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의 부인 김건희 코바나컨텐츠 대표가 석사학위 논문으로도 표절 시비에 휘말렸다.
27일 학계에 따르면 1999년 제출된 김씨의 숙명여대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 '파울 클레(Paul Klee)의 회화의 특성에 관한 연구'에서는 이전에 출간된 책·논문 등과 동일한 부분이 상당수 발견된다.
해당 논문은 김씨가 개명하기 전 '김명신'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던 시기인 1999년 6월에 제출됐다.
JTBC는 이날 김씨 논문을 표절심의 프로그램 '카피 킬러'로 검증한 결과 표절률이 42%에 달한다고 보도했다. '카피 킬러'는 자체 구축한 데이터베이스(DB)와 검증 대상 논문을 비교·대조해 표절률을 산출한다.
JTBC는 김씨 논문이 컴퓨터와 인터넷이 보급되지 않은 시절에 나온 점을 고려해 '카피 킬러' DB에 들어있지 않은 선행 연구를 자체적으로 추가해 이 같은 결과값을 얻었다고 보도했다.
학계에선 표절률 20%를 넘어서면 심각한 연구 부정으로 간주한다.
연합뉴스도 표절심의 프로그램 '카피 킬러'로 김씨의 석사학위 논문을 검토한 결과 표절률은 22%에 달했다.
김씨 논문보다 앞서 나온 1997년 경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에서 클레 회화의 특징을 설명하는 문장 "클레는 어린아이, 정신병자, 원시인들의 드로잉이 고차적 사고를 동반하지 않은 순수한 것이라는 데에 주목하고, 그것들의 유희적 자발성을 선의 가장 기본적인 모티브로 뽑아내기도 하였다"라는 부분은 김씨 논문에 거의 그대로 옮겨졌지만 인용은 없었다.
클레 회화의 선(線)을 음악과 관련지어 논하는 대목에서는 클레의 내성적 기질 등 세 가지 특성을 언급하는데, 이러한 구성도 다른 논문에서 인용 없이 발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 뜨는 뉴스
파울 클레 작품의 시대적 배경을 다루는 부분에선 1986년 열화당에서 초판이 발행된 로즈메리 램버트의 '20세기 미술사'와 유사한 부분이 상당수 발견됐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