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카카오손해보험의 보험업 영위 예비허가
[아시아경제 박선미 기자, 오현길 기자] 카카오손해보험의 보험업 예비인가로 빅테크(대형 정보통신기업)의 첫 보험업 진출에 청신호가 켜졌다. 탄탄한 플랫폼 경쟁력을 갖춘 빅테크 보험사 출범 예고에 대면영업에 치중해왔던 기존 보험업계가 바짝 긴장하는 모습이다.
10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전날 정례회의에서 카카오손보의 보험업 영위를 예비허가 했다. 카카오페이가 지난해 12월29일 금융위에 카카오손보 설립 예비허가를 신청한 지 6개월 만이다. 빅테크의 첫 보험업 진출이자 기존 보험사가 아닌 신규사업자가 통신판매전문보험사(디지털 보험사) 예비허가를 받는 첫 사례다.
카카오손보는 카카오페이와 카카오가 각각 60%, 40% 출자한 자본금 1000억원의 디지털 보험사로 운영된다. 보증보험, 재보험을 제외한 손해보험 종목 전부를 취급할 수 있다. 디지털 보험사의 특성상 총보험계약건수 및 수입보험료 100분의90 이상을 전화, 우편, 컴퓨터통신 등 통신수단을 이용해 모집해야 하는 제약이 따르지만 금융 비대면 서비스가 확산하고 있는 데다 카카오의 탄탄한 플랫폼 경쟁력을 활용할 수 있어 보험업계에 새로운 파장을 불러일으킬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기존 보험 상품과 유통에 혁신을 주도해 보험업계 전반의 변화를 견인할 가능성도 크다.
금융위는 보험업법상 허가요건에 대한 금융감독원의 심사결과 등을 바탕으로 카카오손보가 자본금 요건, 사업계획 타당성, 건전경영 요건 등을 모두 충족한다고 봤다. 또 카카오손보가 카카오그룹의 디지털 기술 및 플랫폼과 연계한 보험서비스를 통해 소비자 편익 증진 및 보험산업 경쟁과 혁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향후 카카오손보는 6개월 이내 허가요건인 자본금 출자, 인력 채용 및 물적설비 구축 등을 이행한 후 금융위에 본허가 신청을 할 수 있다. 빠르면 연말께, 늦어도 내년 상반기에는 본격적인 보험업 영위가 가능하다는 얘기다.
카카오손보는 카카오의 다양한 플랫폼을 적극 활용하면서도 보험 틈새시장을 적극 공략하는 전략을 펼칠 것으로 예상된다. 소비자가 참여하는 다이(DIY) 보험, 플랫폼 연계 보험 등 일상생활의 보장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는 상품 개발에 집중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예컨대 지인과 함께 가입하는 동호회·휴대폰파손 보험, 카카오키즈 연계 어린이보험, 카카오모빌리티 연계 택시안심·바이크·대리기사 보험, 카카오 커머스 반송보험 등이 있다.
또 카카오톡·카카오페이를 통한 간편 가입, 플랫폼을 통한 간편 청구,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신속한 보험금 지급 심사 등으로 가입 및 청구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강점도 있다. 카카오 플랫폼을 활용한 상담·설명 서비스 제공, AI 챗봇을 활용한 24시간·주 7일 소비자 민원 대응·처리 등 소비자보호도 눈여겨볼만 하다.
빅테크 보험사 출범에 보험업계 긴장
금융당국 관계자는 이번 예비허가와 관련해 "지난 2월 보험업 경쟁도 평가 결과 ‘집중시장’으로 경쟁촉진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일반손해보험 시장의 활성화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보험업계는 빅테크의 첫 보험업 진출에 긴장이 역력한 모습이다.
당장 보험업계의 판을 흔들지는 못하더라도 장기적으로 카카오 플랫폼을 등에 업은 강력한 빅테크 보험사 등장은 충분히 파장을 일으킬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카카오손보의 등장으로 아직 보편화 되지 못한 보험 비대면 채널이 대중화 될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는 기대감도 공존한다. 다만 카카오손보가 출범 직후 카카오 플랫폼에서 쉽게 유통될 수 있는 소액 단기보험과 자동차보험 부터 손을 댈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 성장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시각도 있다.
생명보험사 관계자는 "카카오손보가 접근성이 쉬운 생활밀착형 보험에 주목하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소비자 친화력에 자신이 있다는 것"이라며 "기존 플랫폼에서 선보이는 서비스와 보험을 결합한다는 점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손보업계 관계자는 "그동안 보험은 대면영업 비중이 많았던 만큼 소비자들이 경험하지 못한 가입방식이나 상품을 통해 새로운 시장을 만들어 줄 수 있을 것"이라면서도 "당장 온라인 마케팅에서는 앞설 수 있겠지만 현 수준에서 장기적인 성장가능성이 있느냐에는 의문이 든다"고 전했다.
박선미 기자 psm82@asiae.co.kr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