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황준호 기자] 우리 몸의 치아, 뼈, 피부, 혈액, 장기를 새 것으로 교체하거나, 기계로 뇌를 자극해 나이가 들어도 기억력과 정신상태 등을 유지하는 기술이 개발된다. 서울과 뉴욕을 2시간 이내에 주파하는 우주왕복 유인비행기가 다니거나, 하이퍼루프 재사용 우주발사체로 우주여행을 다닐 수 있는 기술도 나온다. 인공 강우로 미세먼지를 줄이거나 태풍의 힘을 약하게 만들고, 폐기물을 자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시작된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제 12회 심의회의를 통해 이같은 내용의 '과학기술 미래전략 2045'를 26일 발표했다.
이 전략에는 정부가 그리는 25년 후의 대한민국 과학기술의 청사진이 담겼다. 정부는 안전하고 건강한 사회, 풍요롭고 편리한 사회, 공정하고 차별 없는 소통·신뢰 사회, 인류사회에 기여하는 대한민국 등을 2045년에 찾아와야 할 미래상으로 잡았다. 또 이같은 미래상을 실현하기 위해 8대 과학기술 도전 과제와 160여개 예시적인 미래기술에 대한 개발 방향을 정했다.
안전하고 건강한 사회를 위해서는 기후변화, 재난재해, 감염병 등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외부요인 대처, 환경오염에 대비한 지속가능성 확보, 차세대 바이오·의료기술을 통한 건강한 삶 실현이라는 도전과제와 기술방향성을 제안했다.
풍요롭고 편리한 사회 구축을 위해서는 인간의 신체적 능력을 높이고, 식량·에너지 등 핵심자원을 확보하고, 생활권 확장과 안전하고 편리한 이동이라는 도전 과제를 제시했다. 공정하고 차별 없는 소통·신뢰 사회를 위해서는 다양한 소통 방식과 신뢰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인류사회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우주·심해·극지 등 미지의 공간 개척을 제안했다.
정부는 이같은 도전과제 해결을 위해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과학기술 정책 방향도 제시했다. 먼저 과학기술 주체로서 연구자, 기업·산업, 국민을 대상으로, 인재, 국가연구개발체계, 성장동력, 사회·공공문제 등 분야별 정책의 중장기적 방향성을 정했다. 또 과학기술 정책의 공간으로서 혁신의 허브가 될 지역과학기술체계, 글로벌 과학기술 협력에 대한 정책방향도 설정했다. 정책환경 측면에서 과학기술이 국정운영의 기본원리가 되는 과학지향 국가, 미래를 지속적으로 탐색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미래지향 국가 등을 정책방향으로 제안했다.
지금 뜨는 뉴스
과기정통부 측은 과학기술기본계획, 국가R&D 중장기 투자전략 등 5년 단위의 중단기 전략·계획 수립 시 '미래전략 2045'를 기본 지침서로 활용할 게획이라고 밝혔다. 또 국민이 미래전략 2045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홍보용 책자로 만들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황준호 기자 rephwa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