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합 콘텐츠 기업 위즈덤하우스미디어그룹(대표 연준혁)은 seri, 비완 작가의 웹툰 <그녀의 심청>, 구병모 장편소설 <한 스푼의 시간>을 포함한 5편의 작품을 연달아 영화 및 드라마로 제작하는 계약을 성사시켰다고 6월 25일 밝혔다. 이는 2019년 상반기에만 이뤄낸 성과다.
위즈덤하우스는 얼마 전 베스트셀러 <모든 순간이 너였다>의 뮤지컬 제작을 성공적으로 유치하며 원작의 IP(Intellectual Property, 지적재산권) 사업을 공격적으로 펼치고 있는 콘텐츠 기업이다. 한국출판저작권연구소 자료에 의하면 작년 한해 단행본 출판사 중에서 최고의 매출(339억)을 기록하기도 했다.
<그녀의 심청>은 위즈덤하우스가 운영하는 웹툰ㆍ웹소설 플랫폼 ‘저스툰’의 인기 연재작이며 ‘2018 오늘의 우리만화상’을 수상한 화제작이다. seri, 비완 작가 특유의 센스와 섬세한 스토리라인, 긴장감 넘치는 심리전이 돋보이는 이야기로 매 연재분마다 sns 상에서 화제가 된바 있다. 국내에서의 인기 못지않게 해외에서도 인기가 높아 중국, 프랑스 비롯한 해외 6개국에 수출되었고, 모든 나라에서 뜨거운 반응을 불러일으키며 인기리 연재중에 있다. 이 작품의 영상화를 맡은 스튜디오앤뉴는 NEW의 콘텐츠제작사업 계열사로 드라마 [태양의 후예], [미스함무라비], [뷰티 인사이드]와 현재 방영중인 JTBC 금토드라마 [보좌관 - 세상을 움직이는 사람들]를 비롯, 영화 [안시성]과 6월26일 개봉을 앞둔 [비스트] 등 다수의 흥행작품을 제작한 회사로, <그녀의 심청> 영상화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한 스푼의 시간>은 17살 청소년의 모습으로 만들어진 로봇이 세탁소에서 지내면서 겪게 되는 사건들을 통해 인생의 의미를 되짚어보는 작품으로, ‘울산시 올해의 책’ 등 각종 추천도서에 선정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이 작품의 제작을 맡은 명필름은 1995년 설립 이후 [접속]부터 [공동경비구역 JSA], [건축학 개론] 그리고 최근 [아이 캔 스피크] 등 굵직굵직한 영화들을 성공시킨 국내 최고의 영화 제작사로 <한 스푼의 시간>의 영화화 소식에 소설 팬들의 관심도 증폭되고 있다.
이상의 두 작품 외에 연달아 영상화 계약이 성사된 작품으로는 안난초 작가의 <식물생활>, 조주희, 도도 작가의 <네가 없는 시간>, 이라하 작가의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가 있으며, 이들 작품들 역시 위즈덤하우스가 운영하는 웹툰?웹소설 플랫폼 저스툰에서 인기리에 연재된 작품이다.
반려식물을 키우는 ‘식물러’들의 일상을 그리고 있는 <식물생활>은 [미생 프리퀄], [게임회사 여직원들] 등을 제작한 기린제작사에 의해 웹드라마화가 결정되었으며 [오목소녀], [걷기왕]의 백승화 감독이 연출한다. 타임워프와 타임패러독스를 소재로 해 흡입력 넘치는 전개로 독자들의 시선을 사로잡은 판타지 <네가 없는 시간>과 정신병동을 배경으로 병동 내 생활을 다양한 캐릭터들을 통해 유쾌하게 풀어내 새로운 형식의 직장 드라마를 개척해낸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는 각각 영화화와 드라마화가 결정되었다.
한편, 작년 한해 스크린과 안방극장에서 가장 핫 했던 작품들은 대부분 만화나 웹소설을 영상화한 작품들이었다. 웹툰을 영화로 만든 [신과 함께], 웹소설을 드라마로 만든 [김비서가 왜 그럴까], 웹툰 원작의 [내 ID는 강남미인] 등이 그 예다. 위와 같은 웹콘텐츠 원작 작품들이 흥행에 성공하며 탄탄한 스토리라인과 매력적인 컨셉의 웹툰,웹소설에 대한 영화, 드라마 업계의 관심은 날로 뜨거워지고 있다.
지금 뜨는 뉴스
이런 상황에서 위즈덤하우스미디어그룹은 지난 2년간 소설 4건, 웹소설 3건, 웹툰 7건 등 총 14건의 영상화 계약을 성사시켰다. 영화, 드라마, 웹드라마, 콘서트, 뮤지컬에 이어 전시회까지, 위즈덤하우스 미디어그룹은 원천 콘텐츠를 활용해 비즈니스 영역을 지속적으로 확장시켜나가고 있다. 이러한 성과는 매년 최대 불황이라는 출판계에 커다란 자극이 될 것으로 보인다.
임소라 기자 mail00@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