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주52시간 근무제·자동화…파이터치硏 "단순노무직 22만명 감소"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6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주52시간 근무제·자동화…파이터치硏 "단순노무직 22만명 감소" 자료제공: 파이터치연구원
AD


[아시아경제 김대섭 기자] 주 52시간 근무제로 주당 근로시간이 1.3% 단축될 시 자동화로 인해 단순노무 종사자가 22만1000명이 감소된다는 주장이 나왔다.


마지현 파이터치연구원 연구원은 4일 '근로시간 단축이 자동화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통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2011~2017년 국가 자료를 활용해 단순노무 종사자의 주당 근로시간이 1% 단축될 시 자동화가 1.1% 촉진된다"고 밝혔다.


마지현 연구원은 "위의 결과를 우리나라의 주52 근로시간 단축정책에 적용하면 주당 근로시간이 43.1시간에서 42.5시간으로 1.3% 단축될 시 자동화로 인해 단순노무 종사자가 22만 천명이 감소된다"고 분석했다.


이번 보고서는 OECD 25개 국가들의 연도별 자료를 하우스만-테일러 추정법을 활용해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자동화 영향을 실증 분석해 발표했다. 단순노무의 직업군은 부품제품 단순 분류원, 단순 조립원, 수동 포장원 등으로 정했다.


OECD 국가 중 주당 근로시간이 가장 많이 단축된 국가는 우리나라로 나타났다. 2011년 44.1시간에서 2017년 42.2시간으로 4.5% 감소했다. OECD 국가의 평균 주당 근로시간 변화율(1.3% 감소)과 비교하면 약 3.5배 더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자동화지표'가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자동화지표는 근로자 1만명 당 산업용 로봇의 대수를 나타낸다. 우리나라 자동화지표는 근로자 1만명 당 102.2대이다. OECD 국가의 평균 자동화지표(근로자 1만명 당 21.2대)와 비교하면 약 5배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마지현 연구원은 "단순노무 비정규직을 많이 고용하고 있는 기업의 경우 탄력근무제 단위기간을 최대 1년으로 확대해 근로자를 로봇으로 대체하지 않도록 조치해야 한다"며 "단순노무 정규직을 많이 고용하고 있는 영세한 기업의 경우 재정문제로 자동화 설비를 도입하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정부 차원의 재정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대섭 기자 joas1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