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이현우 기자] 재미동포 및 한인단체들이 미국 정부의 공식문서와 지도에 동해 병기를 요구한 청원이 또다시 기각됐다. 지난 2012년에도 기각됐던 동해 병기 청원은 다시한번 좌절됐다. 미국정부는 전통적인 '관례'를 명분으로 들었지만, 한일간 첨예한 대립 사안인 만큼 논란이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일본 산케이신문 등 외신들의 26일 보도에 따르면, 미국 백악관은 한국 교민들과 한인단체들이 '동해(the East Sea)'를 '일본해(Sea of Japan)'와 병기해달라는 청원을 기각했다. 백악관은 '하나의 바다에 하나의 명칭'이란 전통적인 관례를 명분으로 청원을 기각하면서 한국과 일본이 협력해 해결방안을 찾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해당 청원은 미국의 한국교민 10만8300명이 서명했다. 백악관은 청원제출 후 30일 이내 10만명의 서명이 모이면 청원을 검토하고 답변해야하는 기준에 따라 해당 청원에 대해 기각 결정한다고 밝혔다.

동해 병기 문제에 대한 한국 교민들의 청원은 지난 2012년에도 있었지만 역시 기각됐었다. 일본 역시 해당사안에 대해 다각적인 외교적 노력을 통해 일본어 단일병기를 주장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일본이 동해 병기를 반대하는 주된 근거 중 하나는 동해란 단어가 여러 언어에서 '명칭충돌(name collisions)'이 일어날 수 있다는 점이다. 같은 아시아권 내에서도 중국의 동해는 황해, 일본의 동해는 태평양, 베트남이 동해는 남중국해 등으로 서로 다르기 때문에 특정 일국의 시점으로 보는 방위로 바다 이름을 붙이는 것은 적절치 않다는 주장이다.
지금 뜨는 뉴스
하지만 이를 근거로 '일본해'라 붙이는 것은 더욱 근거가 없다. 동해는 한국인이 2000년 이상 사용해오고 있는 명칭으로 다양한 사료와 고지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역사성을 갖고 있다. 또한 유럽의 '북해(North Sea)' 역시 프랑스나 네덜란드, 독일입장에서만 북해일 뿐, 영국 입장에서는 동해, 덴마크나 노르웨이 입장에서는 서해지만 전통적으로 북해라 불렸기 때문에 여전히 북해라 불리고 있다.
또한 일본의 메이지유신 이전에 나온 서양과 동양 및 일본의 지도에서도 동해는 보통 '조선해(朝鮮海)'나 '한국해(韓國海·Sea of Korea)' 등으로 불렸고, 과거 일본해로 불린 지역은 도쿄만 일대 북태평양 일부지역이기 때문에 오히려 동해도 일본해라고 표기할 경우, 해당 지역이 생소한 외국인들에게는 더욱 헷갈릴 수 있다.
이현우 기자 knos8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