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文, 국정수행 지지율 73.9%…2주 연속 상승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4초

文, 국정수행 지지율 73.9%…2주 연속 상승 문재인 대통령이 26일 오후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초청 오찬 간담회 시작에 앞서 이춘석 당 사무총장과 악수하고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아시아경제 오현길 기자] 문재인 대통령 국정수행 지지율이 1주일 단위정례조사에서 2주 연속 상승하면서 70%대 중반에 근접했다.

집권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종교인 과세 논란으로 지지도가 소폭 감소한 가운데 국민의당은 안철수 당 대표 선출로 지지도가 올라갔다.


여론조사기관인 리얼미터는 CBS 의뢰로 지난 21∼25일 전국 성인 남녀 2529명을 상대로 한 조사 결과(95% 신뢰 수준에 오차범위는 ±1.9%포인트), 문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율(긍정평가)이 전주보다 1.5%포인트 오른 73.9%로 집계됐다고 28일 밝혔다.

문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은 7월 넷째주 74.0%에서 8월 첫째주(72.5%)와 둘째주(71.8%)에 연속으로 떨어졌다가 셋째주(72.4%)에 이어 2주 연속 반등했다. 직무수행 부정평가는 1.3%포인트 내린 19.7%이며, 모름 또는 무응답은 6.4%로 나타났다.


일간집계를 보면 '살충제 계란' 파동에 대해 사과를 했던 21일 상승세를 보이기 시작, 22일 첫 중앙부처 업무보고에 이어 문 대통령이 5·18 광주민주화운동 전투기 출격대기 명령 및 헬기 기총사격 사건에 대한 특별조사를 지시했던 23일 74.5%로 주간 최고 기록을 달성했다.


다만 24일 '한명숙 전 총리 출소에 따른 정치보복 논란으로 주간 지지율은 소폭 떨어졌다.


리얼미터는 "대국민 소통을 지속적으로 이어가고 중앙부처 업무보고를 시작으로 개혁·민생 정책 추진을 본격화하면서 완만하게 이탈하고 있던 전통적 반대층이 조금씩 재결집하는 것으로 풀이된다"며 "취임 후 모든 주간집계에서 문 대통령의 핵심 지지층으로 볼 수 있는 19대 대선 문재인 후보 투표자 90% 이상이 문 대통령의 국정수행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것"이라고 진단했다.


특히 대구·경북(TK)과 60대 이상, 보수층 등 이전 정부의 핵심 지지층을 포함한 모든 지역, 연령, 직업, 이념성향에서 긍정평가가 크게 높거나 최소 50%를 상회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보수층에서 긍정평가(51.5%)가 부정평가(42.1%)를 앞섰다.


지역별로는 광주·전라(86.3%·5.5%p↑)에서 상승폭이 가장 컸으며, 부산·경남·울산(71.7%·4.0%p↑), 대전·충청·세종(72.7%·2.0%p↑), 서울(73.5%·0.9%↑) 등에서 상승했다. 반면 대구·경북(61.0%·2.6%p↓)에서는 하락했다.


연령별로는 30대(88.0%·3.8%p↑)와 60대 이상(60.2%·2.9%p↑), 40대(80.5%·2.6%p↑), 20대(82.7%·1.2%p↑)에서 상승을 보였지만, 50대(63.2%·3.0%p↓)에서는 하락했다.


정당 지지도에서는 민주당이 전주 대비 0.5%포인트 내린 51.8%를 기록했다. 일주일만에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다. 다만 보수층을 제외한 모든 지역, 연령, 직업, 이념성향에서 1위를 유지한 것으로 조사됐다.


자유한국당은 지난주보다 2.0% 내린 14.9%로 떨어졌다. 수도권과 PK, 충청권, 30대와 60대 이상, 보수층 등 대부분의 지역과 이념성향, 모든 연령층에서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바른정당은 6.8%(0.4%p↑)로 3주 연속 상승했다. 국민의당은 당대표 경선으로 지지도가 상승하면서 6.7%(1.2%p↑)를 기록했다. 정의당은 6.2%(1.7%↑)로 최하위에 머물렀다.


자세한 내용은 리얼미터 또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