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세월호 피해자 가족 앞에 선 文 대통령 “늘 기억하고 있었습니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5초

 세월호 피해자 가족 앞에 선 文 대통령 “늘 기억하고 있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16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4.16 세월호 참사 피해자 가족 초청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한 참석자가 입은 조끼 뒷면에 '부모이기에 포기할 수 없습니다'란 문구가 눈에 띈다. 사진=연합뉴스
AD


[아시아경제 황진영 기자, 이설 기자] “하...”

세월호 피해자 가족들 앞에 선 대통령은 긴 한숨부터 내쉬었다. 대통령의 코끝은 빨개졌고 눈시울이 붉어졌다.


16일 오후 1시 30분 청와대 영빈관. 세월호 참사 피해가족, 생존자들과 면담을 가진 문재인 대통령은 떨리는 목소리로 “늘 기억하고 있었습니다”라고 말문을 열었다. 이날은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참사가 발생한 지 1219일째 되는 날이다.

문 대통령은 "오늘 여기까지 오기까지 너무나 많은 시간이 걸렸다"며 "늦었지만 정부를 대표해서 머리 숙여 사과와 위로의 말을 드린다"고 고개를 숙였다.


세월호 피해가족들이 광화문 광장에서 천막을 치고 노숙을 하면서 세월호 진상규명과 대통령과의 면담을 요구했지만 사고 발생 3년 4개월이 넘도록 청와대의 문은 열리지 않았다.


세월호 피해 가족들과 생존자들의 청와대 방문은 정권이 교체되고 나서야 이뤄졌다.


문 대통령은 “미수습자들 수습이 끝나면 세월호 가족들을 청와대로 한번 모셔야지 했는데 생각보다 시간이 많이 걸려서 수색작업을 하고 있는 중에 이렇게 모시게 됐다”면서 “선체 수색이 많이 진행됐는데도 아직도 다섯 분이 소식이 없어서 정부도 애가 탄다”고 말했다.


이어 “아직 돌아오지 못한 미수습자들이 모두 가족 품으로 돌아올 수 있기를 간절히 기도하고 있다”며 “정부는 가족들의 여한이 없도록 마지막 한분을 찾아낼 때까지 최선을 다하겠다는 약속을 드린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가족들 뿐 아니라 많은 국민들이 3년이 넘는 지금까지도 세월호를 내려놓지 못하고 가슴 아파하는 이유는 미수습자 문제 외에도 아직도 해결되지 않은 부분들이 너무나 많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도대체 왜 그렇게 어처구니없는 사고가 일어났던 것인지, 그 원인이 무엇인지, 정부는 사고 후 대응에 왜 그렇게 무능하고 무책임했던 것인지. 그 많은 아이들이 죽어가는 동안 청와대는 뭘 하고 있었던 것인지. 너무나 당연한 진상규명을 왜 그렇게 회피하고 외면했던 것인지. 인양에 그렇게 많은 시간이 걸린 이유는 무엇인지, 국민들은 지금도 잘 알지 못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세월호 진상 규명을 약속했다.


문 대통령은 “세월호의 진실을 규명하는 것은 가족들의 한을 풀어주고 아픔을 씻어주기 위해서도 필요하지만 다시는 그런 참사가 일어나지 않을 수 있는 안전한 나라를 만들기 위한 교훈을 얻기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일”이라며 “그런 마음으로 세월호의 진실규명을 위해서도 정부가 국회와 함께 최선을 다하겠다는 약속을 드린다”고 말했다.


세월호 참사 진상 규명이 늦어지는 원인과 관련해 전 정부의 책임을 지적했다. 문 대통령은 "그 원인이 무엇이든 정부는 참사를 막아내지 못했다"며 "정부의 당연한 책무인 진실규명마저 회피하고 가로막는 비정한 모습을 보였다"고 비판했다.


문 대통령은 발언 내내 침통한 표정과 떨리는 목소리로 세월호 피해가족들을 둘러봤다. 그러면서 현장에 동석한 더불어민주당 전해철, 김철민, 박주민 의원과 김영춘 해양수산부 장관, 홍남기 국무조정실장 등에게 "유가족들 말이 끝나고 답할 것이 있으면 답해달라"고 요청했다.


이날 면담에는 전명선 4ㆍ16가족협의회운영위원장과 김성욱 희생교사 대표, 안상기 일반인 피해자 대표, 장동원 생존자 대표, 남경원 미수습자 대표 등 피해자 가족과 생존자 등 207명이 참석했다. 면담은 오후 3시 20분까지 1시간 50분 동안 진행됐다.


전명선 운영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독립적이고 강력한 법적 권한을 가진 국가차원의 세월호특별조사위원회 2기가 진상을 제대로 밝혀나갈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 협조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어 "4.16재단 설립을 안전한 대한민국을 이뤄갈 토대들이 마련되도록 적극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황진영 기자 young@asiae.co.kr
이설 기자 sseo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