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글로벌 시장서 '잘'나가는 롯데제과…상반기 해외사업 5.8% 성장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1초

카자흐스탄, 파키스탄 등 신규 해외시장서 성장세 지속

글로벌 시장서 '잘'나가는 롯데제과…상반기 해외사업 5.8% 성장 라하트알마티본사 전경.
AD


[아시아경제 이선애 기자] 롯데제과의 올 상반기 해외실적이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에 따른 중국의 보복에도 불구하고 전년 대비 5.8% 신장했다.

2일 롯데제과에 따르면 중국, 인도, 러시아, 베트남, 카자흐스탄, 파키스탄, 벨기에, 싱가포르 등 8개국의 롯데제과 해외법인의 상반기 매출액 합계가 2841억원으로, 지난해보다 약 5.8% 신장했다. 영업이익은 160억원으로 전년보다 38.9% 증가했다.


특히 카자흐스탄의 경우 상반기 946억원의 판매고를 달성, 전년 대비 30.7% 신장했다. 카자흐스탄은 현재 롯데제과의 가장 매력적인 해외 시장이다. 2013년 현지 제과 기업 ‘라하트’를 인수 이후, 환율 변동성을 감안하지 않는다면 매년 20~30%의 매출 신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진출 초기부터 생산 설비 증설 등 과감하게 투자를 해온 것이 결실을 맺은 것이다.

파키스탄 또한 상반기 543억원의 매출을 올리며 전년 동기 대비 10%의 매출 증대를 기록했다. 현지의 대표 감자 스낵인 슬란티의 판매 증가와 작년부터 새롭게 진출한 라면 사업의 확대가 주효했다. 1억 9000만의 인구를 가진 파키스탄은 14세 미만의 인구가 30%를 차지하면서도 과자 시장은 한국의 3분의 1 밖에 안돼 성장 가능성이 높다.


이외에도 중국을 제외한 벨기에, 인도, 싱가포르, 러시아 등의 모든 해외 법인에서 전년보다 매출이 증가했다. 중국은 사드 여파 등으로 인해 379억에서 194억원으로 매출이 감소했지만, 다른 해외 법인의 성장으로 롯데제과의 해외 시장 전체 매출은 5.8% 성장했다.


롯데제과의 이 같은 해외 실적은 적극적인 신규시장을 모색하고 사업성이 있는 곳에 과감한 투자를 해왔기 때문이다. 때로는 직접 진출을 통해 브랜드를 개척하고, 또 때로는 현지 유수 기업의 인수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냈다.


특히 2010년 이후 인수·합병(M&A)을 통해 진출한 카자흐스탄, 파키스탄의 경우 인수 이후로 2배 가까운 성장(현지 통화 매출액 기준)을 일궈내며 롯데제과의 해외 주요 수익원으로 자리잡았다. 그 외 인도나 러시아 등지에서도 꾸준히 시장을 확대하고 있으며, 작년에는 케냐에 사무소를 설립, 아프리카 시장에도 문을 두드리고 있다.




이선애 기자 lsa@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