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대기오염으로 국내서 한해 약 1.4만명 사망"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3초

40년 뒤에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중 대기오염으로 인한 한국의 조기사망률 최고

"대기오염으로 국내서 한해 약 1.4만명 사망"
AD



국내 대기오염으로 한 해 약 1만4000명이 추가로 사망한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정해관 성균관대 의과대학 교수는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기후에너지건강포럼 발족 기념 세미나에서 “2013년 한해 대기오염으로 인한 초과사망자가 보건측정평가연구소(IHNE) 자료를 기준으로 1만3703명 산출됐다”고 12일 밝혔다.


이는 통계청 기준 2013년 전체 사망자(26만6257명)의 4.5%에 해당하는 수치다. 연간 사망자 20명 중 1명은 대기오염 때문에 ‘초과사망’한 셈이다.

눈에 띄는 것은 초과사망자 중 미세먼지(PM2.5)로 인한 사망자가 1만2037명이라는 점이다. 이 수치는 뇌졸중 5862명, 폐암 4274명, 급성심근경색·급성협심증 등 허혈성 심질환 1901명으로 구분된다.


정 교수는 40년 뒤 "대기오염으로 인한 한국의 조기사망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가장 높을 것"이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보고서도 인용했다.


2060년 한국의 대기오염 조기사망률은 인구 100만명 당 1109명으로 2010년 359명의 약 3배에 달할 것으로 추정됐다.


대기오염과 관련한 경제적 손실도 OECD 국가 중 한국이 가장 커서 연간 국내총생산(GDP) 손실 비율이 0.63%에 이를 것이라고 예측됐다.


이 비율은 일본(0.42%), 미국(0.21%), 유럽연합 주요 4개국(0.11%)과 견줬을 때 높은 수준이다.






아시아경제 티잼 하나은 기자 onesilv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