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문정인 특보 "사드갈등, 소관부처서 방안마련할 것"…현안개입 자제 시사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2초

'외교안보정책 영향력 행사' 우려 불식

문정인 특보 "사드갈등, 소관부처서 방안마련할 것"…현안개입 자제 시사 문정인 대통령 통일외교안보 특보
AD

[아시아경제 최일권 기자] 문재인 대통령의 통일외교안보 특별보좌관을 맡은 문정인 연세대 명예특임교수는 24일 "사드 문제는 외교부 등 소관부처에서 풀어갈 일"이라면서 현안에 적극적인 개입을 자제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문 교수는 이날 아시아경제와의 통화에서 "특보가 개입할 부분이 아닌 것 같다"며 이 같이 말했다.

문 교수의 이 같은 언급은 오랜 기간 문 대통령의 외교 책사를 맡은 이력을 바탕으로 외교안보정책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할 것을 염두에 둔 것으로 풀이된다.


문 교수는 "청와대에서 큰 줄기를 결정하면 외교안보 부처에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해찬 대중국 특사를 비롯해 홍석현, 문희상 등 대미, 대일특사는 이날 청와대에서 문 대통령에게 특사 방문 결과를 설명할 계획이다. 특히 이번 보고에서는 사드 배치에 따른 중국과 미국의 방침이 전달될 것으로 보여 사드 갈등 해소 방안을 마련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한국과 중국 외교소식통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최근 우리나라의 특사 방문 성과에 대해 크게 실망한 것으로 전해졌다. 사드 해법을 들고 올 것으로 기대했지만 사실상 빈손 방문에 그쳤다는 게 중국 내부의 평가라는 것이다.


문 교수는 최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사견임을 전제로 "남북관계에서 우리가 주도적 역할을 해야 한미관계와 한중관계도 잘 다뤄나갈 수 있다"며 남북관계개선에 방점을 찍었다. 또 "남북관계에서 어떤 새로운 돌파구를 만들면 한미관계와 한중관계도 잘 조율될 수 있다"고 말해 한중간 사드갈등이 단기간에 다뤄질 이슈가 아니라는 입장을 시사했다.


문 교수는 또 '5·24 조치' 7주년을 맞아 "천안함 사태를 잊어서는 안 되지만 5·24 조치는 현실적으로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며 개인적인 견해를 밝혔다.


5·24 조치는 2010년 천안함 폭침 사건에 따라 시행된 우리 정부의 대북제재 조치로, ▲개성공단 등을 제외한 방북 불허 ▲북한 선박의 남측 해역 운항 전면불허 ▲남북교역 중단 ▲대북 신규투자 금지 ▲대북 지원사업의 원칙적 보류 등을 담고 있다.


그는 "현실적으로 5·24조치가 작동하지 않는 것은 분명한 사실 아니냐"면서 "다만 즉각 해제한다기보다는 북한의 태도 변화를 봐가며 유연하게 풀어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최일권 기자 igcho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