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김종인, 文포함하는 '통합정부론'으로 급선회…"민주당·국민의당·바른정당이 가장 이상적 조합"(종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40초

"文후보도 '통합정부' (포함)할 수 있다"


"민주당도 참여할 것"

"중도·보수 단일화 어설프다"


옛 여당인 자유한국당 배제한 '정당 간 연합정부' 강조

대선 이후 亂國 고려한 '통합정부론'으로 급선회


安 지지율 급등에 "올랐다 내렸다 할 수 있는 것"


"선거 과정에서 어떤 새로운 방도 생겨날 수 있다",


"대선 완주는 국민이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따라 가야 한다",


"내 이름이 지워질지도 모른다",


중도 사퇴 後 특정 후보 지지說 방증



[아시아경제 오상도 기자, 전경진 기자] 비문(非文)연대를 주도하며 비패권지대를 주창해온 김종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7일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포함하는 '통합정부론'의 기치를 올렸다. 정치권의 '비패권지대' 구축이 동력을 상실한 가운데 혼란스러운 대선 이후의 정국을 고려해 거국적 연대론으로 입장을 선회한 것으로 풀이된다. 김 전 대표는 그동안 친문(친문재인)·친박(친박근혜)을 양 극단 세력으로 규정하고 이들을 제외한 제3지대 구축을 위해 노력해왔다.


김 전 대표는 이날 여의도 윤중로에서 기자들과 만나 '배제하는 정파 없이 다 통합정부의 대상이 될 수 있냐'는 질문에 "그렇다"며 이같이 답했다.


앞서 김 전대표는 이날 오전 출근길에 아시아경제 취재진과 만나 전날 정운찬 국무총리가 문 후보의 통합정부 참여를 주장한 것과 관련, "통합정부란 게 다 똑같다"면서 "문 후보도 통합정부를 할 수 있는 거지. 그렇지 않냐"고 되물었다.


소통을 위해 마련된 이날 '벚꽃정담'에서도 김 전 대표는 가장 이상적인 통합정부의 구성원으로 민주당과 국민의당, 바른정당을 꼽았다. 1차적으로 여당이었던 자유한국당을 배제한 채 통합정부를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그는 유승민 바른정당 후보와 정 전 총리 등 중도·보수 후보 단일화에 대해선 "단일화를 얘기하는 게 좀 어설프다"고 일축했다.


원내 5당의 정치지향이 다름을 묻는 기자들에게는 "(내가) 여당도 야당도 있어봤는데 실질적으로 큰 차이 없다"면서 "1차적으로 여당을 했던 한국당을 제외하고 민주당-국민의당-바른정당을 합쳐 통합정부를 할 수 있다. 민주당도 내가 봤을 땐 참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김 전 대표의) 지지율이 높게 나오지 않는데 통합정부의 구상은 무엇이냐'는 질문에는 "대통령이 될 사람은 현실적으로 이걸 고민할 수밖에 없다"며 "안철수 같은 사람은 '내각 탕평책'을 한다고 하는데 그걸로 되겠는가. 의석수 확보가 중요하다"고 답했다.


김 전 대표는 대선 전 연대를 통한 통합정부 구상에 대해선 "통합정부를 추진하려면 동의를 안 할 수 없게 돼 있다"고 확언했다. "선거 과정에서 논의가 되면 새로운 방도가 생겨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또 '이상적인 정부상'을 묻는 질문에는 "홀로 생각은 많이 해봤고, 할 수 있다고 본다"며 "국정을 제대로 인식한 후보라하면 냉철하게 생각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못박았다. "지금 5당으로 나뉘어 있는데, 어느 당도 혼자서는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현실이지 않느냐"며 "내가 설명 안해도 각 정파가 함께 정부를 구성하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연결고리'는 역시 개헌이었다. 그는 "지도자 역량에 달려있고, 통합정부가 되려면 공동의 목표 설정이 자연스럽게 돼야 하지 않느냐"고 말했다.


이어 "제왕적 대통령제가 오늘의 이런 (경제·안보위기와 탄핵) 상황을 만들지 않았냐"며 "이를 극복하려면 개헌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개헌을 지난 2008년부터 생각해왔고 고민해 왔다며 대통령이 되려는 사람이 개헌을 안 하려는 게 가장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5년 단임 대통령제를 보면 능력없는 사람도 5년동안 헌법에 따라 대통령을 할 수 있다"고 일갈했다.


그는 대선 완주 여부에 대해선 "완주는 국민이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따라 가야지 어떻게 하느냐"고 말해 정치권에서 돌고 있는 중도 포기설에 힘을 실었다. 그는 향후 대선구도에 대해서도 "후보자 숫자가 좀 줄어들지도 모른다"면서 "내 이름이 지워질지도 모른다"며 웃으며 말했다.


이미 정치권 일각에선 김 전 대표가 개헌을 지지하는 후보에 대해 지지선언을 한 뒤 후보직을 사퇴할 것이란 얘기가 돌고 있다.


한편 김 전 대표는 안 후보의 경선 직후 지지율 급등과 관련, "여론조사 지지율은 늘 올랐다 내렸다 하는 것 아니냐"고 큰 의미를 부여하지 않았다.



오상도 기자 sdoh@asiae.co.kr
전경진 기자 kjin@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오상도 기자 sdoh@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