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소한 궁금증, 우문우답]미래부 'Creation' 없고 여가부 'Women' 없는 까닭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초

-미래창조과학부, '창조' 없는 이름...정의 모호·외국인 이해 어려워 빠져
-여성가족부, 정책 지향점 반영 '성평등' 단어 사용 적절하다 판단

[사소한 궁금증, 우문우답]미래부 'Creation' 없고 여가부 'Women' 없는 까닭
AD


[아시아경제 이현주 기자]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 정부부처 조직도 바뀐다. 조직 개편에 따라 세상에 없던 부처가 탄생하기도 하고 기능만 남긴 채 사라지는 부처도 있다. 새로운 부처는 화제를 몰고 온다. 기능은 물론이고 이름까지도 논란이 된다. 한국식 영어라는 오명을 피하기 위해 부처의 영어명칭은 특별히 공을 들인다.

박근혜 정부 때 새로 만들어진 '미래창조과학부'가 그 예다. 미래부의 영어명칭은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이다. 언뜻 보기에도 '창조'가 빠져있다. 창조는 '창조경제(Creative Economy)'에서 따왔다. 창조를 굳이 넣자면 'Creation'을 쓸 수도 있었다. 그러나 미래부는 당시에도 정의가 모호하고 외국인도 이해하기 어려운 창조의 개념을 넣지 않기로 결정한다.


미래부의 영어명칭을 만드는데 관여했던 한 미래부 관계자는 "창조경제란 개념 자체가 논란이 많아서 미래부의 기능별로 영문명을 짓기로 했었다"며 "1차관이 과학(Science), 2차관이 정보통신(ICT)이었고 장관 직속으로 창조경제실이 있었는데 신사업을 고민하고 일자리 창출을 하는 이곳의 기능을 따 'Future Planning'으로 지었다"고 설명했다. 'Strategy'라는 명칭도 논의됐었지만 기획재정부에서 이미 쓰고 있어 불가능했고 'Innovation'도 후보에 있었지만 외국인이 더 이해하기 쉽다는 이유에서 Planning이 낙점됐다.

여성가족부의 영어명칭은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로 여성을 뜻하는 'Women'이 없다. 김태석 전 여가부 차관(현 한국건강가정진흥원 이사장)은 이에 대해 "당시 국회에서 Women을 왜 넣지 않았느냐는 질문이 있었지만 성평등을 추구하는 여성 정책의 지향점을 반영해 사회학적인 성(gender)의 평등이란 의미를 쓰는 것이 더 낫다고 다수가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여가부는 이름 때문에 여성을 위한 정부부처라며 공격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이성인 국민의당 국민정책연구원 부위원장(서울시여성가족재단 연구위원)은 "이름이 주는 오해의 소지가 많다"며 "사실상 여성만을 위한 여성가족부가 아닌 만큼 국민 모두의 삶에 대한 성 평등을 추구한다는 의미로 이름을 개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정부조직 영어명칭은 행정자치부에서 관리하고 있다. 행자부 관계자는 "영어명칭이라 하더라도 영미권 국가들과 국내 부처 간 성격이 다르기 때문에 완벽하게 같도록 명칭을 쓸 순 없고 우리나라 실정에 맞춰 부서 명칭을 사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현주 기자 ecolh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