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성산대교 튼튼하게 만든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2초

성산대교 튼튼하게 만든다 성산대교 전경. 사진제공=서울시
AD


[아시아경제 김민영 기자]서울시가 건설된 지 37년 된 성산대교를 튼튼하게 만든다.

시는 노후화가 심각한 성산대교 하부 교각 콘크리트 균열을 보수하고, 교량 상부 슬래브를 교체하는 등의 성산대교 성능 개선 사업에 나선다고 31일 밝혔다.


내부순환도로(마포구 망원동)와 서부간선도로(영등포구 양평동)를 잇는 성산대교는 길이 1455m, 폭 27m로 1980년 건설됐다. 지어질 당시 2등교로 설계돼 총 중량 32.4t까지의 차량만 통행할 수 있다. 시는 이번 사업을 통해 성산대교를 43.2t 차량까지 통행할 수 있는 1등교로 탈바꿈시킨다.

성산대교는 교통량이 크게 증가하면서 교량이 노후화되고 교량 손상이 지속적으로 발생했다. 2012년 정밀안전진단결과 C등급으로 보수·보강이 시급하다는 판정을 받았다. 성산대교는 일일교통량 17만대 이상으로 일일교통량이 21만대 이상인 한남대교 다음으로 교통량이 많다.


시는 교량 하부 교각부 콘크리트의 균열 부분을 보수하고 노후한 교량 상부 슬래브 콘크리트를 전면교체 하다. 교량 상부 구조물 중 하나인 거더도 보강한다.


이번 공사를 통해 보행 및 자전거를 이용하는 시민이 한강을 조망할 수 있는 전망쉼터 4개소도 설치된다.


성산대교 성능개선공사는 공사로 인한 시민의 교통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단계별로 실시된다. 노후화가 심한 성산대교 북단의 접속교와 램프 2개소는 1단계로 오는 4월 우선 착공해 내년 5월 완료한다. 남단 접속교와 램프 4개소, 접속육교는 2단계로 오는 9월 착공하여 오는 2019년 12월 완료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성산대교 본교는 월드컵대교가 개통되는 2020년 이후 공사에 들어간다.


시 관계자는 “공사기간 중에는 임시가교를 설치해 기존 차로수인 왕복 6차로는 그대로 유지된다”며 “성산대교 성능개선공사가 완료되면, 교량의 안전성 확보는 물론, 교량 유지관리비용도 절감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민영 기자 myk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