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성평등 도시 서울' 만든다…공무원 조직부터 바꿀 계획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8초

5급 이상 여성관리자 비율 20.8%…앞으로 계속 늘릴 예정

'성평등 도시 서울' 만든다…공무원 조직부터 바꿀 계획 사진=게티이미지뱅크
AD


[아시아경제 금보령 기자] 서울시는 성평등 도시를 만들기 위해 '시정 전반 성인지 강화 종합계획'을 추진한다고 29일 밝혔다.

시는 공무원들이 성인지 감수성을 가져야 성평등 위원회, 젠더자문관 등과 같은 정책의 실효성을 거둘 수 있다는 입장이다.


5월에는 시 31개 전 부서, 3개 사업본부, 44개 사업소에 총 270명의 젠더책임관·젠더담당자를 지정한다. 서울의 젠더업무를 총괄하는 젠더자문관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서울시 성평등 기본조례'에 근거를 신설한다.

주요 정책을 심의·결정하는 160개 시 위원회 중 여성위원 비율이 40% 미만인 68개 위원회의 여성위원 비율을 40% 이상으로 늘린다. 위원 임기 만료 3개월 전 위원회 관리 부서에 사전 예고제를 시행하고, 위원 임기 만료 때는 여성위원 신규위촉을 의무로 한다. 또한 시 산하 21개 투자출연기관의 여성 비상임이사 비율 22.2%를 40%이상으로 확대한다.


5급 이상 여성관리자 비율 20.8%도 '여성 승진목표제 운영 계획'을 통해 지속적으로 늘릴 계획이다. 5급 이상 승진심사 및 개방형 직위 임용 시에는 같은 조건일 경우 여성을 우선으로 고려한다.


성인지 예산이 시 전 부서에서 고르게 갈 수 있도록 부서별 성인지예산 목표제를 추진한다. 부서 전체 예산의 일정 비율에 성인지 예산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젠더전담직원, 간부직 공무원, 복지·안전·일자리 담당 직원 등을 우선적으로 선정해 집중 교육한다.


직원들이 실제 업무에 적용할 수 있는 '젠더 10계명'은 시 여성가족재단이 10월까지 개발해 배부할 예정이다. 1년에 한 번 성인지관점 반영 우수사례 발표회도 개최한다.


한편 시는 이번 종합계획을 위해 2일부터 12일까지 총 6763명의 공무원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시 직원들의 성인지 정책 관련 용어 인지 정도는 5점 기준에 전체평균 2.49점으로 나타났다


엄규숙 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올해 조직, 제도, 교육 등 시 전반에 걸친 성인지 강화를 통해 직원들은 물론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성평등 도시 서울을 구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금보령 기자 gol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