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성립 대표 "작지만 단단한 회사로 만들어 놓은 다음에 진행"
저가수주 없애고 선박 과잉공급 해소하기 위해 필요
관건은 추진 시점…현대重·삼성重 구조조정 중, 업황 회복 이후에
[아시아경제 심나영 기자] "궁극적으로는 '빅3'보다는 '빅2' 체제로 가는 게 국가 경쟁력 차원에서 맞지 않을까 생각한다" 정성립 대우조선해양 대표는 24일 서울 중구 대우조선해양 사옥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말했다. 정 대표는 "지금처럼 지원해주면서 작지만 단단한 회사로 만들어놓은 다음, 국가 경제적 차원에서 점진적으로 빅2체제로 가는 게 맞다고 생각하며 그것을 염두에 두고 경영을 하겠다"고 강조했다.
지난 23일 2조9000억원을 운영자금으로 새로 수혈 받은 대우조선해양은 물론 대우조선해양에 자금 지원을 결정한 정부와 채권단, 경쟁사들까지 우리나라 대형조선사를 '빅3'(현대중공업·삼성중공업·대우조선해양)에서 '빅2'(현대중공업·삼성중공업) 체제로 전환해야 한다는 주장에 공감은 하고 있다. 과열경쟁에 따른 저가수주와 선박 과잉공급 해소를 위해 필요하다는 것이다.
문제는 추진 시점이다. 당장 추진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의견이 대세다. 대우조선해양을 일단 정상화 시킨 다음 매각을 진행해야 한다는 데 방점을 찍는다. 정 대표가 빅2 체제에 대해선 동의하면서도 "다만 대우조선해양의 문을 당장 닫고 빅2체제로 가는 경우에는 사회적 비용 엄청날 것"이라고 말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삼정회계법인에 의하면 대우조선해양이 지금 당장 도산하면 최대 59조원의 경제적 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도산 시기를 4년만 늦춰도 피해규모는 26조원으로 정도로 줄어든다.
대우조선해양을 흡수해야하는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의 현재 상황도 만만치 않다. 지난해 각각 영업이익 1조6419억원, 1472억원을 거뒀지만 두 회사도 여전히 구조조정 중이고 수주는 살아나지 않고 있다. 매각을 하더라도 조선업 자체가 정상화 된 다음에야 고려해 볼수 있다.
정 대표는 일단 올해부터 대우조선해양이 흑자를 낼 것으로 자신했다. 그는 "올해는 부실을 모두 회계에 반영하는 등 완전히 정리했고 영업이익률이 높은 LNG선 건조를 중심으로 건조 인도가 진행되면 부채비율 300% 가량의 건실한 회사가 돼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우조선해양은 LNG선 평균 영업이익률이 5.8%로, 지난 2월말 기준 수주잔량 108척 중 50척이 LNG선 또는 LNG-FSRU(부유식 LNG 저장ㆍ재기화 설비)를 차지하고 있다.
심나영 기자 sn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