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中 사드 몽니]중국, 롯데마트 또 16개 영업정지…절반 이상 문 닫아(종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2초

중국 롯데마트 매장 99곳 중 55개 영업정지 처분
중국 사드 보복 점입가경…수시로 시설점검

[中 사드 몽니]중국, 롯데마트 또 16개 영업정지…절반 이상 문 닫아(종합) 중국 소비자들이 중국 롯데마트 한 매장 앞에서 시위를 벌이고 있는 모습.
AD


[아시아경제 지연진 기자]주한미군의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ㆍ사드) 배치로 인해 중국의 보복 표적이 된 중국내 롯데마트 매장 절반 이상이 중국 당국으로 영업정지 처분을 받았다.

8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이날 하루 중국내 롯데마트 16곳에 추가로 영업정지를 당했다. 이로써 이날 오후 4시 기준 영업정지 점포 개수 총 55개로 늘어났다. 중국내 롯데마트 99개 가운데 절반 이상이 문을 닫은 것이다.


영업정지 매장은 화동법인이 51개(장쑤성 41개, 안후이성 4개, 저장성 4개, 산둥성 2개)로 집중됐고, 동북법인 2개(랴오닝성 2개)과 화북법인 2개(허베이성 2개) 등이다.

롯데는 중국에서 백화점 5개와 롯데마트 99개, 롯데슈퍼 13개 등 117개 매장을 운영중이다. 베이징 롯데슈퍼 3개 점포가 문을 닫기 전인 지난해 할인점(롯데슈퍼 13개 포함) 115개점 총 매출이 1조1290원에 달한다. 1개 매장의 월평균 매출은 8억원대로 계산하면 55개 매장이 한달 가량 문을 닫을 경우 손실금액은 440억원 이상으로 추정된다.


중국 당국은 롯데가 국방부와 사드 부지 교환계약을 체결한 이후인 지난 4일 4개 매장에 대해 동시에 영업정지 처분을 내린데 이어 지난 6일 19개, 7일 16개 롯데마트 매장에 대해 영업정지 처분을 내렸다. 이날 추가로 16개 매장에 대해 소방법 위반을 이유로 영업을 중단시킨 것이다.


일각에선 중국 당국이 최근까지도 실시간으로 중국 롯데마트 및 슈퍼, 백화점 등 사업장에 대한 소방점검을 진행하면서 시간차를 두고 영업정지 처분을 내리고 있어 향후 문닫는 매장이 늘어날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롯데가 사드 후보지로 결정된 지난해 11월 이후 중국내 롯데 사업장에 대한 시설점검은 200차례 이상 이뤄졌다. 롯데 관계자는 "최근에도 시설점검이 수시로 나오고 있다"면서 "일부 정치색이 강한 지역에선 영업정지를 내리고, 그 외 지역은 시정명령 조치를 하고있다"고 말했다.

[中 사드 몽니]중국, 롯데마트 또 16개 영업정지…절반 이상 문 닫아(종합) 최근 중국의 한 롯데마트에서 납품업체가 상품을 빼는 모습


더 큰 문제는 중국내 반(反롯데) 여론이다. 롯데와 국방부의 사드 부지 교환 계약을 앞두고 중국 관영언론들은 "롯데가 독배를 마실 것"이라는 거친 표현까지 동원하며 비판했다. 중국 관영매체들은 롯데에 대한 불매운동을 부추겼고, 일부 강성 네티즌을 중심으로 인터넷에서 불매운동이 벌어지면서 이제는 오프라인까지 확산되는 추세다. 중국 각지역에서 롯데 퇴출과 한국산 불매운동을 외치는 중국인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고, 이를 인터넷으로 퍼나르면서 확대재생산하고 있다.


특히 중국내 기업들이 애국 마케팅을 펴면서 롯데 불매운동에 동참하고 있다. 중국의 유명 제과기업 웨이룽은 공식 웨이보 계정에서 장쑤성 옌청의 롯데마트 매장에 텅빈 자사 판매대 사진을 올리면서, "현재 롯데마트 옌청점에서 물건을 뺐고, 다른 전국 롯데마트에서도 순차적으로 철수할 것"이라고 밝혔다. 같은 글에서 이 기업은 "향후 롯데에 납품하는 등 사업을 함께 할 일은 없을 것"이라고 못을 박았다.


중국내 롯데마트의 경우 현지화 전략을 펴면서 현지에서 공급받는 상품 비중이 90%에 달한다. 중국의 제과기업 웨이룽처럼 현지 협력업체들이 상품을 매장에서 빼면 향후 영업정지 조치가 해제돼 문을 열어도 팔 물건이 없어 영업을 접어야 하는 상황이 올수 있다는 이야기다.


롯데마트 관계자는 "영업 중단으로 직접적인 피해가 발생한 매장을 제외하면 (정상영업을 하는) 다른 매장에서 매출 감소는 아직까지 파악되지 않고있다"면서도 "중국은 예측불가능한 시장이 만큼 향후 시장 분위기가 어떻게 될지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지연진 기자 gy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