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한강 야생조류 폐사체서 AI 검출…서울시, 인근 지역에 방역 실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3초

서울시내 야생 조류서 AI발생한 건 2015년에 이어 두 번째

한강 야생조류 폐사체서 AI 검출…서울시, 인근 지역에 방역 실시 뿔논병아리 폐사체 발생지 출입차단 및 자전거 산책로 우회로 현황. (사진=서울시 제공)
AD


[아시아경제 금보령 기자] 서울시는 한강 야생조류 폐사체에서 조류독감(AI)이 검출되자 인근 지역 방역을 실시한다고 3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성동지대 앞 도선장에서 발견된 뿔논병아리 폐사체에서 H5N6형 AI가 검출됐다. 서울시내 야생 조류에서 AI가 발생한 것은 2015년 2월에 이어 두 번째다. 당시 성동 살곶이공원에서 채취한 야생조류 분변에서 H5N8형 AI가 검출됐다.


시는 성동구와 함께 폐사체가 발견된 성동지대 앞 도선장과 인근 자전거 도로 총 640m에 차단띠를 설치했다. 또한 살수차와 방역차를 동원해 이번 주말까지 3일 동안 집중 물청소와 소독을 실시할 예정이다. 차단 띠는 수레나루 46번 나들목에서 청구아파트 48번 나들목까지 설치됐다. 출입차단 지역에는 인근 도로로 우회하도록 현수막과 표지판을 설치하고, 출입 이동 통제 인원을 배치할 계획이다.

강변 안쪽 도선장은 가금류 이동 제한이 해제될 때까지 출입을 차단한다. 다만 폐사체가 발견된 도선장은 콘크리트 바닥으로 돼 있는데다 평소 야생조류가 머무는 곳이 아니기 때문에 집중 소독 후에는 6일부터 인근 자전거 산책로 통행을 재개한다.


현재 폐사체의 고병원성 여부에 대해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정밀검사 중이다. 최종 검사 결과는 이날 오후 또는 4일 오전에 나올 예정이다.


폐사체에서 고병원성이 확진될 경우 시는 즉시 시내 모든 가금사육 시설에 대해 임상 예찰을 실시하고, 농림축산식품부의 조류인플루엔자 긴급행동지침에 따라 반경 10km이내에는 '야생조수류 예찰지역'을 지정한다. 시에는 현재 1066마리의 닭, 오리 등 가금류와 동물원 내 조류가 사육되고 있다.


야생조수류 예찰지역에는 종로구, 중구, 용산구, 성동구, 광진구, 동대문구 등 총 19개 자치구가 포함된다. 해당지역 내 가금류의 반·출입과 가축 분뇨, 깔집, 알 등의 이동은 제한된다.


예찰지역 내 닭의 경우 폐사체 검사 의뢰일인 지난달 31일부터 7일이 경과된 오는 7일 임상검사를 한 뒤 이상이 없을 경우 이동제한을 해제할 예정이다. 오리 및 기타 가금류에 대해서도 14일에 보건환경연구원의 가축방역관을 파견해 임상 및 혈청검사를 실시한 뒤 이상이 없을 경우 이동제한을 해제한다.


서울의 경우 농림축산식품부 지휘 및 관련지침에 따라 사람 및 차량에 대한 이동제한 조치는 취하지 않는다. 농장 형태가 아닌 도심지내 자가소비나 관상 목적으로 기르는 소규모 사육가구여서다.


그러나 시는 한강을 중심으로 한강의 지천과 생태공원에 야생조류가 서식하는 점을 감안해 지난해 11월23일부터 한강의 야생조류 탐조대와 탐방로 등 4개 생태공원을 폐쇄하고 매일 소독과 예찰 활동을 해왔다.


또한 시는 한강과 한강의 지천 등 8개소의 주요 야생 조류 서식지에 대해 분변을 수거하여 AI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현재까지 검사한 1770점에서 고병원성 AI는 단 한 건도 없없다.


야생조류 폐사체를 발견했을 경우 직접 만지지 말고 120 다산콜센터나 시 AI 재난안전 대책본부로 즉시 신고해 주기를 시는 당부했다.


박원순 시장은 "발생지 인근 자전거 도로 출입 통제 등 방역 활동으로 인해 불편하시더라도 AI 예방을 위해 불가피한 조치이니 시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협조를 부탁드린다"라고 말했다.




금보령 기자 gol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